사실 방송에 나와서 요리전문가를 자처하는 사람 중에서 모든 요리에 설탕을 레시피에 포함시키는 것을 당연시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를 의식한 사람들 중에서는 단당이 아닌 흑설탕을 넣는 경우도 있고 매실청을 넣는 경우도 있다.
매실을 넣는 이유는 매실 특유의 향과 매실로 우려나온 아미노산, 미네랄과 비타민 등 향미를 풍부하게 하는 요소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대놓고
그런데
대다수 자식들은 어머니 손맛과 입맛에 길들어져서 처가집이나 식당밥을 잘 먹지 못하고 먹더라도 맛있다고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쌀뜬물에서는 수용성 비타민과 수 많은 미네랄이 놓아 있다. 그래서 단백질과 지방 등 수 많이 좋은 필수 아미노산들이 들어 있어서 풍미를 높이고
쌀뜬물 을 끓이다 보면 탄수화물이 걸죽해지고 단수화물이 당화가 되어 설탕을 넣지 않더라도 충분한 단맛을 내게 된다.
쌀뜬물의 경우 화초에 주거나 예전에는 소 돼지 등 가축의 베이스 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키운 소나 개나 돼지의 경우 다른 것 보다 건강하게 키울 수 있었다.
그리도
문제는 무 또한 무엿을 만들 만큼 무는 달면서 매운 맛을 내고 시원한 맛과 소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
설탕 특히 단당류의 경우 당뇨,비만, 성인병의 주범이고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고 그래서 WHO에서 하루 설탕 소비량을 50g 이하로 하라고 권장하고 있다.
설탕 일일 권장량 25그램은 티 스푼으로 6개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설탕의 상태에 따라 다르다.
그런데
실제 백종원은 끊임없이 장사밥이 노하우를 이야기하고 이를 쉽게 집에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래서 장사밥의 집밥화가 백종원의 레시피의 근간이다.
어쨌든
[TV&ETC] - 새이정표 쓴 삼시세끼 어촌편 시청률, 만재도 피자 거북손 눈가는 이유는
[TV&ETC] - 삼시세끼 차승원 추성훈 카리스마, 몸매 비교 대결 승자 누가될까?
[TV&ETC] - 삼시세끼 어촌편 나영석 그까이꺼 편집이 제일쉬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