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1988 혜리 찬밥 생존기 이유는
응답하라 1988 혜리 고아라 정은지 뒤 이을까?
응답하라 1988 그들이 사는 방식은
응답하라 1988 (응팔)은 1988년 올림픽 세대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응답하라 1988이전 응답하라 1997과 응답하라 1994에 이은 응답하라 시리즈의 3편이다.
응답하라 시리즈를 이끌어가는 배우는 성동일
응답하라는 시대적 배경으로 당시에 유행하던 음악과 어우러져 당시 세대들의 이야기를 회상하며 추억에 젖게하고 당대를 모르는 신세대에게는 선배세대들이 어떻게 생활을 했는지 훔쳐보는 맛이 있다.
응답하라 시리즈의 출여진의 배역을 보면 재미있게도 돌려 막기를 보여주기도 하고 배우의 이름을 배역으로 하는 점도 신선함을 준다.
더불어 응답하라 시리즈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인물은 응답시리즈의 성동일과
이들 배우들의 캐미는 응답하라를 이끌어가는 중추를 담당하고 있고 시리즈 전반에 걸처서 이들이 없다면 극이 이끌어가지 못할 정도이다.
그런데 재미 있는 사실은 1~3편에서 꾸준히 사투리는 같다는 점이다.
응답하라 1988은 이전 편과 다른 점이 있다면 한지붕 아래 여러가족이들이 모여사는 지지고 볶는 사람 사는 이야기다.
응답하라 시리즈에서 주연 여배우가 중심을 잡아 주어야 하는데 이전 고아라나
혜리는 특공대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특별히 공부도 못하는 대가리라는 별명으로 집안에서 막내이지만, 환영을 받지를 못하고 있다.
응답하라 1988에서 혜리는 쌍문여고 2학년으로 최연소 마다카스카르의 피켓걸로 선발이 되었다.
하지만, 마지막에 마다카스파르가 불참을 하는 바람에 피겟걸로 1988년 올림픽 무대에 서보지도 못하는 불행을 당한다.
혜리는 같은 날 태어난 혜리는 막내라는 설움으로 언제나 언니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집안에서 찬밥신세다.
생일 상 조차 언니가 촛불을 켜고 난 후 남은 재활용을 해서 둘째의 설움을 만끽하고 있다.
실제 당시에는 막내라서 귀여운 것이 아니라 막내라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는 존재였다.
혜리는 자신이 좋아하는 달걀 후라이조차 자유롭게 먹지 못할 만큼 가난한 시대가 1988년 시대였다.
어쩌면 혜리로 대변되는 1988세대가 마지막 배고픈 세대이지 않을까?
하지만, 86~88년 이후 노동자의 임금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88세대라는 신조어가 있을 만큼 점차 풍족한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그렇다고 언니라고 마냥 좋은 대접을 받는 것은 아니다. 언니라고 양보를 해야한다는 말을 들어야 했고 기대감에 치어야 한다.
혜리는 마다카스라르의 불참으로 침울해 있었지만 우간다 피켓걸이 되어 올림픽에 일조했다는 자부심을 가진다.
혜리는 88올림픽 개막식이 끝나고 돌아와 성화에 타죽은 비둘기를 가지고 돌아온다.
혜리를 기다리고 있는 성동일은 혜리를 위해서 생일케익을 건넨다.
그리고 아빠가 처음부터 아빠가 아니라서 잘 몰랐다고 말한다. 그만큼 당시에는 사랑이 아닌 생존이 더 급하고 여유가 없었던 시대였다.
더불어 조그만 틈만 생기면 연탄가스가 방안으로 스며들던 세대였다.
성동일 가족들이 연탄가스에 취한다. 하지만, 여전히 혜리는 다시금 찬밥으로 홀로 생존해야 하는 막둥이에 지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