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IN드라마/선덕여왕

선덕여왕, 성골.진골론? 춘추를 후레자식으로 만드는 사람들

성골 남자의 씨가 마른 이유는 진평왕이 딸만을 낳았는데, 그 후 왕위를 이을 왕제가 없었다. 그런데 정말 그러할까? 삼국사기에는 진평왕 원년 왕위에 오른 후 진평왕의 동모제(?)인 동생 둘을 갈문왕에 봉하고 있다. 복승의 딸이고 진평왕의 비이며, 덕만과 천명의 어미인 마야부인 또한 성골이다. 그렇다면 복승도 성골이라는 의미다. 진평왕은 어린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진평왕의 동생들에게는 남자 아들이 나오지 않았을까?  춘추가 왕이 되기전에 왕의 우선 순위는 알천이였다. 알천이 나이가 많아, 춘추에 왕위를 양보하게 되었다. 실제는 유신계와 춘추의 어미인 천명의 보이지 않는 압력이 있지 않았을까?   

그렇다면 정말 진골위에 성골은 있는 것일까? 결론부터 이야기를 하면 천만에 만만의 콩떡이 되시겠다. 이는 후대에 만들어진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그리고 지금까지 나온 고고학 유물이나 기록 어디에도 <성골>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진골>만이 있을 뿐이다.  

그런데도 사학을 전공하는 자들이 성골, 진골을 나누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런데 이들의 성골과 진골을 나누는 기준이 서로 다르다.

어떤이는 왕족과 왕족간의 근친혼을 성골이라고하고 귀족과의 결혼을 하게 되면 성골에서 진골로 떨어진다(족강)고 한다. 물론, 신라 중기 이후 후대로 넘어가면 근친혼이 사라지기는 한다. 그렇다고 성골이 씨가 마르고 진골만이 남게 되겠는가? 어찌 되었던 왕족과 왕족의 결혼은 계속 되고 있는데 말이다.  

성골과 진골이 있다면, 그 기준은 간단명료해야 한다. 그런데 전공자 마다, 분류가 다른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이를 성골과 진골을 구이 나누고자 하는 이유가 나누기를 좋아하고, 분류하기를 좋아하는 학자적인(?) 학구열일까? 아니면 성골, 진골의 분류가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았기 때문일까?  

글쓴이의 견해는 성골이 진골이고, 진골이 성골이라는 생각이다. 춘추는 삼국 중 백제를 굴복시킨 첫 왕이고 그의 아들인 문무왕때 어찌되었던 백제와 고구려를 굴복시켰다. 신라로 볼때는 새로운 시대의 만든이다. 그러니 당대에 이를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 또한, 춘추를 이은 문무나 신문왕은 기존질서와 이전 왕대와 차별화를 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도 국민의 정부, 문민정부, 참여정부 등 1공화국, 2공화국, 3공화국, 5공, 6공을 나누듯이 말이다. 우리가 시대를 구분하고자 하듯이 당대나 후대 고려사람들의 관점에서 분류하고 싶은 것이다. 신라를 나눌때 상대, 중대, 후대로 나누기도 한다. 또는 삼한일통이전과 이후로 나누기도 한다. 성골과 진골을 나누는 일환도 이와 다르지 않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조심히 들여다 보면, 성골이 진골이요, 왕족임을 알 수 있다. 성골진골의 분류체계가 확립된 시기는 춘추(태종)시기가 아닌 고려시대의 분류법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인이 말하다.  국인(나라사람)은 누구를 말하는가?  

8년(654) 봄 3월에 왕이 죽었다. 시호를 진덕(眞德)이라 하고 사량부(沙梁部)에 장사지냈다.  

國人謂始祖赫居世至眞德二十八王 謂之聖骨 自武烈至末王 謂之眞骨 唐令狐澄新羅記曰 『其國王族 謂之第一骨 餘貴族第二骨』

나라 사람들은 시조 혁거세로부터 진덕왕까지의 28왕을 일컬어 성골(聖骨)이라 하고, 무열왕부터 마지막 왕까지를 일컬어 진골(眞骨)이라 하였다. 당나라 영호징(令狐澄)의 신라기(新羅記)에 말하기를 『그 나라의 왕족은 제1골(第一骨)이라 하고 나머지 귀족은 제2골(第二骨)이라 한다.』- <삼국사기> 28대 진덕왕 말년

지금까지 "진덕왕까지 28왕을 일컬어 성골이라고 하고, 무열왕 부터 마지막 왕까지를 진골이라고 하였다"는 기준을 넘어 설 수 없다. 이 기준을 넘어서는 분류는 존재하면 안된다. 이는 하나의 선언이고, 기준이고, 명제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국인>의 주체가 누구인가를 보아야 한다. 그냥 읽으면 신라의 사람으로 읽히겠지만. 천만의 말씀이다.  

 일반적인 국인론이고 본론으로 들어가서 <진덕>왕 사후에 기록된 <국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나라 사람들은 시조 혁거세로부터 진덕왕까지의 28왕을 일컬어 성골(聖骨)이라 하고, 무열왕부터 마지막 왕까지를 일컬어 진골(眞骨)이라 하였다. 

이말의 주체가 되는 <나라사람들 :<국인(國人)>은 진덕왕 말년 당시의 나라사람들이 될 수 없다. 이를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다음에 기술된 "무열왕부터 마지막 왕까지를 일컬어 진골이라고 한다."라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다시 말하면 신라가 망한후 고려 <김부식>시기의 학자층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초기 이승만 대통령시기 사람들이 현재 대통령이 노무현이라고 하는 것과 같이 허황된 말이다. 현재의 사람은 과거 이승만, 박정희, 최규화,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을 말할 수 있지만, 그 당시의 사람은 미래가 어찌되었는지 알수 없는 것과 같다.  

이처럼 여기서 말하는 <국인>이란 신라가 끝나고, 고려시대 김부식때의 사람들 좁히면 당시 귀족일단이나 식자층이 그렇게 알고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더욱 좁히면 신라 출신자들이 하는 이야기이다. 또한, 김부식은 당시의 진덕왕때 사람들이나 신라사람들이 이야기 했다고 하지 않고 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국인>을 신라 진덕왕시기의 사람들로 인식을 함으로서 비져진 코미디이다.  

영호징은 말한다. 성골, 진골은 없다 

또한, 많은 이들이 영호징의 <신라기>를 성골, 진골이 있었음을 증명하려 한다. 하지만 영호징이 말한 내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당나라 영호징(令狐澄)의 신라기(新羅記)에 말하기를 『그 나라의 왕족은 제1골(第一骨)이라 하고 나머지 귀족은 제2골(第二骨)이라 한다.』其國王族 謂之第一骨 餘貴族第二骨』

왕족은 1골이고, 귀족은 2골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왕족은 성골이라는 말이 없다. 왕족은 그저 1골이고 귀족은 2골이라고 한다. 하지만, 성골, 진골이 있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1골은 성골이고, 2골은 진골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진골출신 춘추가 왕이 되었으니 진골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해석이다. 일단 왕이 되었다면, 그 일족은 귀족이 아닌 왕족이 되는 것이다. 또한, 그의 후손들도 제 1골인 왕족이 되는 것이다. 왕족이 귀족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춘추는 진지왕의 손자인 왕족으로 왕이 된것이다. 유신 또한 신라왕족 출신이다.

신라는 남자중심이 아닌 남.여 공히 그들이 결혼한 상대는 왕족으로 편입되고 있다. 또한, 여 왕족에 장가간 많은 사람들이 왕이 된다. 신라는 왕족들에게서는 남.여 차별적이 요소가 전혀 없다. 오히려 사위로 왕이된 석탈해나 김미추 시대의 진정한 왕은 왕후로 기록된 여왕이였지 않는가 하는 의심이 든다.  

또한, 영호징은 통일신라 이후의 사람이다. 그러니 영호징이 말한 제1골은 진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2골인 귀족은 신라의 6두품을 이르며 6부족(씨성)에 해당할 뿐이다. 그래서 신라는 왕족(진골)과 6두품에 복식이나 집이나 가마 등 각 계급과 직제에 맞춘 규정이 있었다.  

성스런 진골만 있을 뿐이다.  

만약, 춘추 이전이 성골이라면, 왕족 출신도 아닌 석탈해, 김미추가 왕이 되었다. 그런데 석탈해는 성골이고, 왕족인 김춘추는 진골이라는 말이 되는데, 이는 논리적 모순이다. 그렇지만 김씨계 왕들을 성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또한,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 것이다.  

삼국사기에 김부식이 말한 <성골>을 제외하고, <성골>이라는 단어는 더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진골>출신은 수 없이 등장하지만 말이다. 하물며 있지도 않은 성골이 진골의 상위계급이라니 있을 수 없다.  

단지, '성스러운 진골(聖而 .. 眞骨)'만 있을 뿐이다.

 만약, 성골 진골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분들은 알려주기 바란다. 글쓴이는 아직 이를 정확히 구분하는 이를 본적이 없다. 춘추 이전 28왕 그들 스스로 성골은 있지 않다고 증명해 주고 있으니 말이다. 있다면 단지 시대 구분에 지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을 뿐이다.

 어찌 되었던 많은 사람들이 우리 집안은 <뼈대>가 있는 집안이라는 말을 한다. 이 또한 신라시대부터 내려온 뼈속깊이 새겨진 흔적이 아닐까?

그렇다면 성골은 없다는 말인가? 왕즉성조(골)

성골은 당대의 왕의 자제를 말한다. 진평왕에게 아들이 있었다면 그들이 성골이고, 딸들만 있다면 그 공주들이 성골이다. 그럼 진평왕은 성골일까? 왕보다 성스런 존재가 있을 수 있는가? 왕위에 왕없다는 말이다. 그 무엇보다도 존귀한 존재이다.

그렇다면 진평왕은 성골로써 왕위에 올랐을까? 아니다. 단지 진흥왕의 손자로 왕위에 올랐다. 진흥왕시기에는 진평(백정)은 성골이였다. 하지만, 진지(금륜)이 왕이 되었을때는 제1골인 진골(왕족)이였다. 진평(백정)은 진지왕의 방계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진지왕이 되는 순간 방계가 되는 것이다. 진지왕이 폐위되고, 진평왕이 왕이 되었을때 비로서 성조(聖朝)이자 성골이 되었다.

진지왕의 후손인 용수.용춘 또한 진지왕의 폐위여부와는 상관없이 진평왕이 왕이 되는 순간, 진평왕의 방계인 왕족(진골)이 되는 것이다.

춘추도 진골(왕족:1골)로 왕위에 올라 성골(성조)가 되었다. 그러니 법민도 아버지 춘추가 왕이 되므로 해서 왕족(진골)에서 성골이 된것이다.

만약, 당대 왕이 성조이자 성골이 아니고, 기존 통설에 따라 진지왕의 폐위되어 용춘.용수가 족강이 되었다면,  실성왕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른 눌지왕의 후손들은 전부 진골이 될 수 밖에 없다. 이유는 눌지왕의 뒤를 이어 왕이 된이는 자비왕이다. 자비왕은 실성왕의 딸의 아들로써 왕이 된다. 기존 통설의 폐위되면 족강되어 진골이 된다는 설의 최대 헛점이 되는 것이다. 누구도 지비왕부터 성골이 아닌 진골이라고 이야기하지 않는다.

지증왕은 소지왕의 뒤를  이어 왕위 되었다. 그런데 지증왕은 소지왕의 6촌에 불과하다. 지증왕은 단지 왕족으로 왕이 된것이다. 법흥왕의 뒤를 이어 왕이된 진흥왕 조차도 왕족으로 왕이 된것이다. 진흥왕은 법홍왕의 조카이자 외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간단한 성골.진골을 복잡하게 만든건 기존통설을 만든자들이다. 신라를 요상하고 이상한 나라로 만든이들은 신라가 아닌 현대 신라사를 연구하는 자들이 만든것이다. 신라는 당시에 있던 다른 나라와 같이 보통의 국가에 지나지 않았다. 족친혼은 신라만의 고유한 것도 아니고, 동양의 몇나라를 제외하면 일상화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성골(성조)은 당대왕과 자제이고, 왕의 적통이 이동하면 성골이였던 자들은 자동으로 왕족이 되는 것이다. 이는 어느 왕조나 마찬가지이고, 같은 왕조내에서나 다른 나라의 역사에도 마찬가지이다. 진골은 왕족의 다른말일 뿐이다.


그래서 덕만은 진평왕의 딸로 성조황고가 된것이다. 그래서 일연은 삼국유사에 진평왕시기 <성골남진>이 되었다고 한것이고, 삼국사기는 진덕(승만)에 성골이 없다고 한것이다. 덕만과 진덕(승만)은 그저 무자식이였다는 뜻이다. 하지만 논란이 있는 필사본 <화랑세기>는 진평왕에 성골남진이 되지 않았고 덕만은 많은 왕자와 많은 공주를 물리치고 왕이 되었다고 이야기를 한다. 덕만에게는 당시의 왕자와 공주보다도 왕이 될수 있는 특별한 능력이 있었다는 뜻이다.

한마디로 실성왕, 눌지왕, 자비왕, 지증왕, 진평왕이던, 선덕왕이던, 진지왕이던, 김춘추왕이던 어느왕이나 왕이 되기전 성골로써 왕이 되었건, 진골로써 왕이 되었건 상관없이 계급위에 있는 존재하는 성조이자 성골이다. 그러니 <왕즉성조>이다. 그렇지 않다면 왕이 일개 왕족(진골)과 동등하다는 말인가? 그러면서 김춘추시기 이후에 왕권이 강화되었다고 말을 할 수 있겠는가? 기존 통설에 따르면 일개 왕족(진골)과 동등한 왕이 말이다.

요즘 화랑세기를 <사서>로 인정하는 자들이 늘고 있다. 그런데 화랑세기를 사서로 인정하는 하는 자들도 기존 통설에 벗어 나지 못하고 <성골><진골>의 환상에 빠져 있는 자들이 있다. 도대체 화랑세기를 사서로 인정하면서 성골이 진골의 상위개념이고, 폐위되면 그의 후손은 족강이 되어 진골이 된다거나, 궁을 벗어나면 성골의 지위를 잃게 된다는 황당한 설을 내 놓기도 한다. 화랑세기는 성골.진골을 나누지 않고 있다.

용수.용춘을 두고 춘추가 전면에?

300

화백회의에 난입한 춘추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춘추의 실질적인 생부인 용춘을 두고, 춘추의 생부가 누구인지 알고 싶다면 다음 2009/09/21 - [역사이야기] - 천명만 알 수 있는 김춘추의 생부(용수?,용춘?) 기사를 참조하기 바란다. 춘추가 10살로 전면에 등장해서 덕만과 왕위다툼을 할 수 있을까? 그렇게 생각한다면 무지의 소산이다. 용수와 용춘은 612~3년 전후인 드라마 시점에서 누구도 누리지 못한 권력을 쥐고 있다. 그런데 젖비린내나는 춘추가 그의 아버지를 뒤로 하고 전면에서 "내가 왕이로 소이다"라거나 "비담을 죽여버리겠다"고 공언을 한다는 생각이 끔찍하다.

또한, 당시 왕위 승계서열상 춘추는 열손가락으로 치면 등위권에도 들지 못한다. 2진법으로 샌다면 모르겠지만 말이다. (2진법으로 숫자를 샌다면 10손가락은 1024개까지 숫자를 샐수 있다) 한마디로 춘추가 화백회의 중간에 등장한다는 발상자체가 이승만 정권때 이명박이나 전두환이나 박정희가 나와서 자신이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 무슨 선거고 투표냐? 내가 왕(대통령)이라고  하는 꼬라지와 같다.

물론, 드라마를 아무 생각없이 보면 극적인것 처럼 보이긴 한다. 드라마 선덕여왕 작가가 미실을 통해서 공언한것 처럼 "백성(시청자)는 진실을 알고 싶어하지 않을 뿐만 아니고 버거워 할 뿐이다." 또한 마약에 취한것 처럼 사실을 알려주면 어린아이 처럼 오히려 성질부터 부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