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앤/독도

리에 보다 독도에 대해서 잘안다고 자신하나?

최근 미수다에 출연하고 있는 일본인 리에의 독도관련 발언에 대해서 네티즌 중 일부가 리에의 미니 홈피에 과도한 욕설과 일본으로 돌아가라는 발언을 하여 이슈가 되고 있다.

하지만, 리에의 발언을 보고 있노라면 독도관련 발언보다는 정치인에 대한 발언에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독도관련 발언에는 별다른 문제를 발견할 수 없었다.

주간동아와 인터뷰에서 왜 독도 관련 발언이 나왔는지 생각해 보니 리에가 3.1절 특집 드라마에 출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주간동아 기자는 리에가 독도에 대한 생각이 어떠한지 물어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처럼 느껴진다.

문제는 독도가 한.일 양국간에 첨예한 대립을 하고 있는 사안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민감한 독도관련 질문을 하지 않는게 인터뷰어로서 상식에 속한다. 불필요한 질문을 한 주간동아 기자가 욕을 먹어도 먹어야 한다. 그런데 오히려 불똥은 제대로 답변한 리에에게 쏠리고 있다.

어쨌든, 리에의 독도 발언을 종합해 보면, 자신은 일본에 있을때 독도가 누구나라 땅인지 몰랐다. 하지만 한국에 와서 보니 독도문제가 한국인에게는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독도에 대해서 알아보니 독도는 한국이 발견하고, 현재 독도라는 이름은 일본이 붙힌것이라고 발언을 하였다는 것이 전부이다.

이를 해석하면 독도는 한국땅인데 이름은 일본이 만들었다는 뜻이다. 그러니 왜 일본이 만든 독도라는 이름을 현재 까지 사용하는지 모르겠다는 뜻이 함축된 말이 아닐까 한다.

실제 독도라는 지명은 한국이 만든 지명이 아니고, 일본이 만든 지명이 맞다. 한국인들은 현재의 독도를 독섬이나 돌섬이나 무릉도나 우산도로 불리며 통일된 이름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물론, 일본에서도 울릉도를 송도, 무릉, 죽도, 독도라고 불리우고 현재의 독도를 독도나 죽도, 송도로 불리우기도 했었다. 그래서 일본은 죽도(竹島)로 쓰고 <다케시마>로 읽는다. 


독도에는 대나무가 하나도 자라지 않는데 독도를 죽도라고 지은 것은 한국의 독섬(돌섬)의 음독을 따라 지은것이 아닌가 하고 반론을 제기하기도 한다. 사실 죽(竹)은 <다케>라고 읽고, 독(獨)은 <다쿠>라고 읽으니 <독>의 발음을 표기하지 못하는 일본인들이 가장 가까운 <다케>나 <다쿠>로 명명했을 것이라는 논리가 먹히고 있다.

실제로 삼국시대 신라에 빈번한 동해안 왜인들은 울릉도에 사는 자들이 아니였을까 의심해 볼 필요성도 있다.

조선초기에도 울릉도에 사는 자들이 동해안에서 빈번한 해적질을 한적이 있는데 이때 복장을 왜인들의 복장으로 노략질을 하였다고 조선실록 태종조에 기록하고 있다. 이들을 <가왜>라고 불리우기도 했다. 그러니 울릉도 사람들은 왜인과 빈번한 접촉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마도주가 조선국왕에 울릉도를 자신의 땅으로 달라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때 조선의 땅인데 줄수 없다는 말을 하고 거절한다.

여기서 왜 대마도주가 울릉도를 자신의 땅으로 달라고 했는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 왜인들이 울릉도까지 자신의 땅으로 달라고 했다는 뜻은 독도도 자신의 땅으로 달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독도는 울릉도의 부속도서이니 말이다. 그만큼 왜인들이 울릉도까지 자주 왔었다는 뜻이다.


문제는 위에서 언급했지만 독도가 어떻게 변천되었는지 리에는 알고 발언을 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한국인은 그저 <독도는 우리땅>이란 말만 공염불처럼 이야기를 하고 있고, 그저 한다는 소리가 일본에 돌아가라는 돌아오지 않는 메아리 같은 말만 반복하고 욕설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리에의 독도 발언을 보고 든 생각은 "리에가 의외로 독도에 대해서 많은 공부를 하였구나" 정도였다.

왜냐하면 리에가 말을 했듯이 일본에서는 독도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고 있지도 않을 뿐만 아니고 독도가 자국의 영토라는 인식도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독도의 문제는 정치적인 문제이니 정치인들이 알아서 잘하겠지라는 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을 때 어느정도 정치인들에 대한 신뢰가 있는것이 아닌가 했다.

문제는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라는 정운찬은 대한민국 국회에서 중국인과 조선인을 대상으로 마루타 실험을 한 731부대는 독립군 부대라는 어처구니 없는 막말을 해도 멀정한데, 그나마 독도에 대해서 대한민국 국무총리 정운찬이나 일반 네티즌보다도 독도에 대해서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일본인 <리에>는 드라마에도 출연하면 안되고, 공인으로서 갖춰야할 자세가 안되어 있다고 <미수다>에서 하차해야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주간동아의 인터뷰에서 보는 것처럼 선거에서 투표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았을 때 일본의 정치수준이 왜 한국과 비슷하거나 처지는지를 쉬이 알 수 있는 대목이 아닐 수 없었다.

오히려 주간동아 인터뷰에서 아프게 다가온 건 자신들 일본인들은 정치에 무관심하여 일본 정치가 낙후된것은 이해한다고 하지만 한국인들은 일본인들보다 정치에 관심이 많은데 왜 골라놓은 정치인들은 친일파를 옹호하는 집단이 정권을 잡고 있는가?라는 반문을 하는 것 같아 쥐구멍이라도 찾아들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친일 민족반역자인 박정희를 역대대통령으로 가장 존경하고, 그의 후손인 박근혜가 차기 대권에서 가장 앞선 나라에서 리에에 대한 공격이 마녀사냥이다라는 말을 들어도 할말은 없는 것이다. 한마디로 이중적인 태도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오히려 일반 일본인들과 다르게 리에는 독도에 대해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칭찬해 주어야 마땅하다. 또한, 리에를 공격하는 대한민국 네티즌들이 일본인 리에 만큼 독도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할 수 있는가?

리에에 대한 반론 지점은 독도라는 지명을 확립한 건 일본이지만, 이는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증거라는 것이 아닐까한다. 그런데 왜 독도라는 지명을 한국인은 계속 사용하고 있는가하는 또다른 반론을 한다면? 답할 말이 없다. 이유는 너무나 많은 한국의 지명이 식민지 과정에서 일본식으로 바뀌였기 때문이다. 단지, 위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일본은 현재 독도를 <죽도:다케시마>로 사용하고 있다는 반론정도가 아닐까?

관련기사
2009/12/26 - [독도] - 세종대왕은 왜? 동해의 이어도 요도를 찾아 나섰을까?
2009/12/25 - [독도] - 일본 독도 집착, 울릉도에서 독도 일출 볼 수 있다. - 성탄절, 연말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