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 전업블로거 기자는 안되나? 이제 새로운 직종이 생길때가 되었다.
블로그에 광고를 개재한다는 것은 블로거들로써는 어쩌면 뻘춤한 일이다.
그러나 블로그에 광고를 포함하는 것이 대세가 될것이다. 현재 구글의 AD센스와 다음의 AD클릭스와 전자신문 등 다양한 포털들이 광고의 홍수를 일반 블로거들과 쉐어를 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포털이 일방적인 광고를 내는 것 보다는 한다리 건너서 자발적으로 광고를 컨텐츠에 포함을 시키므로 포털과 블로거가 서로 윈윈하는 것 같기는 하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겉보기에 불과하고 실제는 블로거들이 포털의 광고수입을 증대시켜주는 <자발적 앵벌이>에 불과하다. 포털는 빈번히 등장하는 광고의 홍수라는 비난을 피해갈수 있고, 블로거들은 글을 올리고 포스팅을 하므로서 혹시나 있을지 모를 광고 크릭에 잔돈을 모을수 있으니 겉으로는 그까지것 광고가 얼마나 된다고 하면서도 없는 것 보다는 "티끌모아 태산", "동전하나를 모아 돼지를 잡는날"을 기다리는 어린이의 심정의 공짜심리가 발동하게 된다. 사실 자신에 수입이 없는것 푼돈이라도 주는 포털이 나을 수도 있다. 그것도 안주는 포털도 있으니 말이다.
실제로 잔돈을 모아서 큰돈이 된다고 하지만 다음의 에드크릭스의 상위를 차지하는 사람들의 한달 수입을 보면 10만원이상은 되기 힘들것이다.
한달 100만명이 블로거로 방문하더라도 최대 광고는 다음의 스펀서 광고 3개와 블로거가 설정한 광고 3개를 합쳐 광고노출*방문자수를 하면 600만번의 광고가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600만번를 노출시켜준 블로거는 단돈 10원도 가져갈수 없다. 블로거가 가지고 가는 수입은 블로거를 방문하는 광고를 크릭을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다음과 구글의 자발적 앵벌이 블로거들
현재 다음은 블로거 기자단을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기사를 송고를 한사람은 기사의 질에 관계없이 기사를 본 독자(눈팅)들이 추천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런데 수십만명이 기사를 보더라도 추천수는 천이 넘는 경우가 없다.
광고가 아닌 기사의 추천도 천명미만/수십만(1,000/20만) = 1/200 = 0.5%만이 적극적인 추천을 한다는 의미가 된다.
기사도 그러한데 광고는 말해 무엇하겠는가? 기사가 아닌 광고를 크릭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것 만큼 힘들다. 또한 광고는 노출된것 만으로 이미 광고의 효과를 보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니 당연히 크릭할 필요가 없다.
글쓴이가 애드크릭스를 설치한 이유는 도대체 "얼마나 광고수입이 발생할까?", "너도 나도 블러그인AD, AD인블러그를 할까?"하는 의문에서 출발했다. 그래서 애드크릭스를 설치한 후 나의 애드크릭스의 4일간의 통계를 살펴보았는데 광고를 크릭한 사람이 단 1사람있었다. 그래서 4일동안의 수입은 단돈 40원이란 거금을 모을 수가 있었다. 4일 기간중 방문자 수는 약1만명이 조금 안되었다. 조금 쪽(낯)이 팔리기는 하다. 약간의 광고노출과 방문자가 차이가 나는것은 중간에 광고노출의 수를 조절한것도 있고, 애드크릭스가 8월2일 오후에 발동하기 시작해서 생기는 오차이다.
다음 애릭클릭스의 약정에 의해서 (노출수,크릭수,클릭율)을 노출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xxx로 표시합니다.
날짜 | 총 노출회수 | 총 클릭회수 | 클릭율(%) | 수입 |
---|---|---|---|---|
2007년 08월 06일 | 0 | 0 | 0 % | 0 |
2007년 08월 05일 | X | 0 | 0 % | 0 |
2007년 08월 04일 | X | 0 | 0 % | 0 |
2007년 08월 03일 | X | X | X | 40 |
2007년 08월 02일 | X | 0 | 0 % | 0 |
합계 | XXXXX | X | X | 40 |
그런데 1만명의 방문자에 노출된 광고에 40원을 달성했으니 대략 방문자*광고수(스폰서*3+노출광고*3)이면 6만회에 노출로 40원이면 40/6만 = 약 0.007%의 극히 미미한 수입이 됩니다 (애드클릭스 약정에 의해서 내용의 일부를 수정했습니다)
추측컨데 40원도 정상적인 크릭이 아닌 방문자의 실수에 의한 크릭일 가능성이 많다. 왜냐하면 나도 의도하지 않게 다른 블러그를 방문해서 화면을 조절하고 추천화면을 이동/삭제하는 과정에 상위에 있는 광고를 크릭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것이 다음에 기사를 쓰는 블로거기자나 블로거들이 다음의 <자발적 앵벌이>들이 아니면 다른 말로 어떻게 표현을 할것인가.
만장의 찍은 찌라시광고도 읽지 않고 방문을 하지 않더라도 최소 단가가 장당 40원은 넘을 것이다.
광고크릭수를 늘리고 싶다면 콘텐츠 상단에 두자
많은 블로거들이 애드클릭스 광고를 상위에 두는 이유는 노출시간이 많아서가 아니고 상단에 추천화면이 있어 콘텐츠 내용이 겁쳐 있어서 추천을하거나 추천을 한후 추천화면을 없애는 과정에서 실수에 의한 광고를 클릭하는 것이다.
실제로 콘텐츠 상단의 광고는 노출시간이 콘텐츠의 하단에 있는 광고보다는 적다.
광고란 노출과 크릭이 다 광고다
광고란 당장의 크릭이 수익이 되는 것도 있지만 광고란 지속적은 노출을 하므로서 인지도를 높이고 부지불식간에 광고를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뇌에 각인을 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드라마나 영화에 PP기법을 도입하여 부지불식간에 광고를 하고 적지 않는 광고비를 지출하고 받고 있다. 이글을 쓰는 이도 내블로그나 타 블로그를 방문하면서 김x사XX나 몇몇 광고는 눈에 익혀 버렸다. 그러한데도 다음은 스스로 노출만의 광고수입을 광고주로 부터 받고 있으면 서도 윈윈하자는 일종의 비정규직 자발적앵벌이들의 기사나 질높은 콘텐츠에 광고를 개재하고 블로거 "방문자가 광고 사이트를 크릭(방문)하면 댓가를 줄깨"라고 말하고 있다.
블로거는 콘텐츠로 승부를 한다. 콘텐츠가 좋으면 방문자는 늘어난다. 방문자의 순증이 광고의 크릭율을 늘려 줄 수는 있으나 일일 100만명의 방문자를 동원하더라도 광고를 크릭하지 않는다면 단돈 1원도 수익이 없을 수 있다. 이정도 방문자를 동원하는 사람이라면 최소한 일일 10만원을 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다음을 키워주는 사람들은 다음 포털의 내부에 직원들도 있겠지만 실질적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생성해주는 블로거들이기 때문이다.
현재 다음의 양질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는 블로거기자들을 보면 현업에서 기자로 활동하는 메이저 조중동 기자들보다 양질의 기사를 생성하기도 한다. 만약, 블로거로 프리랜서기사나 컬럼리스트를 꿈꾸는 사람이 있다면 빨리 꿈속에서 깨어나야 한다. 단지 블로거의 콘텐츠를 보고 오프라인에서 또다른 수익의 기회를 만들수는 있을 것이다.
새로운 직업, 프리랜서 블로거/기자를 양성하자.
만약, 다음이 전업의 직업적인 프리랜서 블로그기자를 양성하고, 네이버나 타 포털의 베스트 블로거를 끌어들이려는 속셈과 그들을 추종하는 이웃들을 다음으로 끌어들이려는 고도의 전략을 세웠다면 양질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블로거와 블로거 기자들에게는 최소한 아르바이트생의 최저시간급인 3800원(?) 보다는 더주어야 한다. 그래야 그들이 움직일 것이다.
양질의 포스트나 기사를 송고하는 블로거 기자들은 하나의 기사를 만드는데 최소한 한두시간은 문서를 작성하는데 보낼것이고 자료를 찾는데 몇시간을 허비할것이다. 어떤 콘텐츠는 수일/수십일를 고민해서 만든것이 있을것이다. 그런데 이런 고급스런 콘텐츠나 글쟁이나 기자들를 단순히 일일 몇백원 몇천원에 고용하는 것은 비정규직보호는 고사하고 근로기준법위반이 아닐까?
공익적인 기업과 공익을 생각하는 블로거
(관련글 : http://blog.daum.net/gniang/12521100 )
애드클릭스 공익광고 (7)
현재 블로거들 중에 애드클릭스나 애드센스로 들어온 수입을 국내/국외의 불우이웃들에게 도움을 주기위한 자발적 기금을 조성하는 경우가 있다. 애드크릭스에서 들어온 수입의 일부를 다음이 지정하는 위탁기관에 적립하는 것도 다음이나 블로거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는 좋은 시도가 아닐까 한다.
그래야 지금보다는 나은 정말 블로거와 다음이 상생하고 윈윈하는 날이 빨리오지 않을까한다. 그래도 정당한 댓가는 못받겠지만 최소한의 자발적앵벌이는 되지 않을 것이고 직업적인 프리랜서 블로거 기자를 꿈꾸는 사람들이 생기고 그안에 질높은 콘텐츠와 질높은 기사를 나오게 해서 다음이나 블로거나 다음의 광고주나 다음의 방문자들이 진정으로 서로 윈윈하는 전략이 되지 않을까 한다.
이 제안은 보다 현실적으로 블로거의 권리를 찾자는 운동이고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블로거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와 보다 좋은 콘텐츠를 보고자하는 운동이다. 동참하여 각자 자신의 권리를 찾자.
좋은 컨텐츠 본 값은 추천과 광고크릭으로
또하나의 제안, 다음이 좋은글 읽은 값은 광고를 추천하는 것이다. 다음을 압박해서 블로거의 정당한 권리를 찾기와는 별도로 좋은 글이 있다면 최소한 애드크릭스의 광고를 크릭해주는 것으로 답례를 하는 것은 어떨까? 그러면 최소한 글쓴이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그리고 광고크릭만 하지 말고, 댓글로 좋은글 입니다. "추천과 광고크릭으로 글값을 대신합니다"라고 한다면 다른 분들도 더욱 많은 동참하지 않을까.
이글을 보는 분들 중 애드크릭스나 애드센스를 설치했다면 자신의 블로그의 일일/월 광고노출수/크릭수/금액을 공개할 수 있다면 공개해 주기 바란다. (애드클릭스 약정을 재대로 파악하지 못한 관계로 금액을 제외한 데이타를 공개해달라고 한점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
애드클릭스가 미치는 블로거들의 현재 상황을 알고 다음 기사로 만들고 싶다. 누군가는 해야할 이야기가 아닐까한다.
'html&script > 블로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거뉴스 실시간문제 해결을 촉구한다. (3) | 2008.06.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