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스위스 쥐, 무적함대 스페인 고양이를 물다.

 

스위스는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한국에 일격을 가해 예선탈락의 수모를 준 팀입니다.


이번 2010년 남아공월드컵 H조 스위스 vs 스페인의 대결에서 강인한 수입을 바탕으로 스페인의 파상공세를 물리치고 효과적인 역습으로 1:0으로 신승을 하였습니다.


 스위스가 스페인을 이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역대 전적은 18전 3무 15패였습니다. 마치 공한증에 걸린 중국이 한국을 보면 주눅이 들어 스스로 발이 움직이지도 못하는 고양이 앞에 쥐의 모습이었습니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 월드컵에서 스페인을 이겨 16강 진출 교두보를 확보했습니다. 반면 스페인은 먹이 감으로 여겼던 스위스에 패해 스페인이 가지고 있던 월드컵 징크스를 깨지 못하고 있습니다. 스위스가 스페인 함대를 침몰시킨것은 쥐가 고양이를 잡은 것만큼 충격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하지만, 축구공은 언제난 둥글고,  이변은 축구의 묘미이니 보는 3자 입장에서 그 또한 즐겁기는 합니다.


영국. 스페인은 역대로 강력한 우승후보였지만, 영국은 자국에서 벌어진 66년 런던 월드컵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성적을 보여주지 못했고, 스페인은 4강 진출이 최고 성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왜 이들 양국은 유럽에서 가장 왕성한 프로리그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변변한 성적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을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들 영국과 스페인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합니다. 특히 영국의 경우는 언론이 만든 허상이 가장 큰 경우일 것 같고, 스페인의 경우는 징크스에 시달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들 리그에선 선수들이 너무 많은 시합을 한다는 것을 약점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고, 시즌이 끝나고 체력이 고갈된 후에 월드컵이 열려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유럽에서 활동하는 많은 비유럽파의 경우 월드컵 시즌에는 국가대표로 자국을 왕복하면서 월드컵 예선과 평가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페인이나 영국선수 경우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태반이므로 상대적으로 비유럽파 보다는 훨씬 좋은 조건으로 월드컵에서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영국과 스페인은 버블이 낀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국 같은 경우는 버블 중에 버블이 아닐까 합니다. 반면에 독일이나 이탈리아 같은 경우 역대 최약체라고 할 때에도 우승하는 경우도 있고 최소한 8강, 4강은 어찌하던 달성을 합니다.


물론, 독일과 이탈리아는 개인의 역량보다는 팀을 중요시 하는 조직력을 바탕으로 개인전술을 구사하는 남미의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를 대적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개인 전술보다는 팀플이 개인전술을 깨는데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브라질의 경우는 개인전술이 조직력을 깨트릴 만큼 뛰어나기도 하지만, 개인전술과 화려함에 묻혀서 팀전술의 강력함이 묻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을까 합니다.


정리하면 영국은 개인전술도 뛰어나지 않고, 개개인의 개인전술도 상대적으로 뛰어나지 않으니 당연히 월드컵 같은 지역별 최고수준의 팀들 간에 대결에서는 각 팀의 특색있는 전술을 뛰어 넘을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반면에 무적함대 스페인의 경우 개인전술도 뛰어나고 팀전술도 뛰어나 조직력이 있는데 월드컵에서 별다른 실적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미스테리하고 서프라이즈 하다고 하겠습니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최초의 이변으로 기록될 만한 경기가 스위스와 스페인전이니 말입니다.  네티즌 중 극히 일부는 스위스가 스페인을 잡은 것은 자블라니 때문이라 하지만 꼭 그렇게 볼만한 장면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관련기사
2010/06/17 - [스포츠] - 인민루니 정대세를 앞세운 북한 G조 혼돈으로 몰아 넣다. - 북한 브라질 전
2010/06/15 - [스포츠] - 카메룬 일본,차범근 발언 숨은 의미와 일본 승리요인 3가지 - 혼다 골
2010/06/14 - [스포츠] - 자블라니 월드컵 최악 공인구인 이유
2010/06/13 - [스포츠] - 붉은악마 대한민국, 그리스 지옥의신 하데스에 인도 - 아르헨티나 기대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