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U 그랑프리 피겨 6차 시리즈 중 3차가 끝나 반환점에 접어 들었다.
김연아는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여하지 않는다. 그런데 많은 세계 피겨팬들은 김연아가 없는 그랑프리에서 김연아를 더욱 떠올린다.
그만큼 김연아의 부존재는 김연아를 더욱 부각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랑프리에 참석하는 많은 선수들의 연기를 보고 김연아의 연기와 비교평가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연아는 피겨의 기준이 되어 버렸다. 점프하나 하나도 김연아의 점프와 비교해서 김연아보다 점프를 못하는데 어째서 김연아보다 GOE가 높은 거지? 김연아가 나왔다면 GOE는 모두 +3이겠네, 연기를 보고는 김연아의 죽무(죽음의 무도)보다 잘해, 아니면, 김연아가 2007년 데뷔한 스케이트 캐나다 록산느의 탱고가, 일본의 무라카미 카나코의 개다리 춤보다 낮을 수 있는 건가? 라고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래서 국적이 깡패라는 것도 여실히 증명되어 버렸다.
김연아가 없으니 피겨점수가 너무나 낮은 건 무슨 이유때문이지? 아무리 쇼트 프로그램에서 스파이럴 2.5점과 GOE가 사라졌다고 해도 너무 낮은 것 아닌가? 그동안 모든 피겨선수들은 김연아 때문에 같이 점수가 올라 간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 등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사실 김연아가 있을 때 컴피에 참여하는 선수들의 점수가 과다하게 김연아에 맞춰져 있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도 아니다. 왜냐 하면 김연아가 실수했을 때를 대비해서 실력도 되지 않는 선수들의 점수를 비등하게 올려주었기 때문이다.
그리스.로마신화에 유명한 프로크루테스 침대 일화가 있다. 침대에 맞추어 침대보다 크면 다리를 잘라버리고, 키가 작으면 침대에 맞추어 키를 늘려 죽이는 것처럼, 심판들은 김연아를 기준으로 줄을 세워버렸다. 문제는 프로크루테스 침대의 크기가 그때 그때 마다 달라진다는 것이다.
오히려 피겨판은 프로크루테스 침대보다는 경주마의 경주처럼 뛰어난 경주마에게 <부담중량>을 주어 수준이 떨어지는 경주마와 비슷하게 결승점에 들어오도록 만드는 것처럼 김연아에게는 부담중량을 주고, 기타 일본이나 유럽이나 캐나다나 미국 등 피겨 강대국 선수들에게는 출발선보다 수백미터 앞에서 출발하도록 만들었다. 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다면 김연아에 배신당한 ISU 심판들?를 일독하기 바란다.
사실 김연아가 그랑프리에 나오지 않는다고 선언했을 때부터 이미 충분히 예상된 문제들이다. 왜냐하면, 김연아는 네비게이션을 운용하는 GPS처럼 기준 위성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단순히 네비게이션을 보고 방향을 잡지만, 막상 GPS 위성이 사라지면 만약 지구를 돌고 있는 GPS용 위성들이 사라져 버리면 모든 네비게이션은 동작을 하지 못하고 혼선을 일으킨다. 한마디로 김연아는 살아있는 표준이기 때문이다.
그랑프리 시리즈가 끝날 때 마다 그 동안 김연아가 하였던 이전 프로그램들인 록산느의 탱고, 종달새의 비상, 박쥐, 미스사이공, 죽무(죽음의 무도), 세헤라자데, 007메들리, 거쉬 등 유투브 동영상 검색이 늘어나고 있다.
김연아의 부존재는 외국 전문가들이 어느 순간 김연아가 피겨를 그만두고 은퇴하겠다고 말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할 때부터 예측되었던 것이다. 이는 단순히 피겨의 룰기준의 혼란뿐만 아니라, 피겨라는 종목의 인기와도 직결된다.
일례로 2010년 그랑프리 3차 중국 베이징 삼성애니콜 시리즈를 보면 쉽게 들어난다. 2008년 김연아는 중국 베이징(북경) 대회에 참석하였었다. 김연아가 참여하였을 때 베이징 빙상장은 수많은 인파로 가득 찼었다. 하지만, 2010년 북경대회는 빈자리가 너무나도 많이 눈에 띄었다. 빈자리가 더 많은 대회가 되어 버렸다.
김연아가 3차 중국 북경과 5차 러시아 모스크바와 그랑프리 파이널인 북경은 김연아 효과를 보려 했지만, 김연아의 불참은 대회를 3류대회로 만들어 버리고 관중도 없는 설렁한 대회가 되어 버렸다. 농구황제 마이클 조던이 게임하는 것과 부존재의 차이는 농구의 인기를 결정하였었다. 농구가 마이클 조던이고, 골프의 타이거 우즈가 골프와 동일한 개념처럼 받아들인 것처럼 말이다. 그만큼 특정한 스포츠는 특별한 존재에 의해서 인기의 척도가 달라진다.
세계에서도 김연아의 부재는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국내로 시선을 돌리면 암담하다고 할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김연아가 어느 순간 은퇴를 한다면 한국에는 김연아를 뒤이을 선수들이 없기 때문이다. 김연아 같은 100년 만에 나오는 천재는 변변한 빙상연습장도 없는 상황에서도 세계의 기준 롤모델이 될 수 있지만, 천재는 지속적으로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최소한 환경이 만들어져 있어야 선수들이 훈련을 할 수 있고 국가적인 불이익을 당하더라도 실력으로 극복해 나갈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실정은 피겨선수 뿐만 아니라 동계 스포츠를 하는 선수들이 연습할 장소가 없다. 연습할 장소가 없어서 이동하는 시간이 훈련하는 시간보다 많다면 이는 게임도 해보기 전에 지고 들어가는 것이다.
G20 의장국이 되었다고 선진국이 되는 것이 아니다. 동계스포츠 인프라도 없는 국가에서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겠다고 나선다는 것은 선진국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이야기다. 일본 아사다 마오의 츄쿄대학은 피겨전용 빙상장만 2개가 있고, 연습용 소규모 빙상장 1개까지 합쳐서 3개를 가지고 있다. G20 의장국인 대한민국이 빙상장이 없어서 훈련을 할 수 없다는 말은 창피하고 부끄러운 일이다. 그러니 최소한 훈련할 600평(60*30) 훈련 빙상상은 필요한 것이다.
관련기사
2010/11/01 - [스포츠] - 김연아 빠진 아사다마오 오서 조합 피겨 흥행위해 나쁜건 아니다. 다만..
2010/10/29 - [스포츠] - 김연아 오서 결별탓에 캐나다 그랑프리 흥행실패했다고?
2010/10/26 - [스포츠] - 아사다 마오 점프가 강점? no 강점은 일본, 김연아 약점은 대한민국과 언론
2010/10/27 - [스포츠] - 지소연, 김연아 소속사 올댓스포츠 한국실정에 무능한걸까?
2010/10/24 - [스포츠] - 김연아 빠진 그랑프리, 아사다마오 지킴이 발기자 때문에 쓴 리뷰
2010/10/22 - [이슈] - 김연아 CNN 인터뷰 이적행위, 모든 홍보대사직 회수해야
2010/10/21 - [스포츠] - 김연아 빙상장 600평 서울 군포 백지화 의지 문제일뿐 시간과 돈 문제 아니다
2010/10/20 - [이슈] - 김연아 빙상장, 김연아 거리 필요없다.
2010/10/16 - [이슈] - 김연아 세계여성스포츠상 수상으로 본 참 이상한 나라 대한민국
2010/10/15 - [이슈] - 김연아. 미국 투명유리 진입 장벽 깬 유일한 존재, 하지만..
2010/09/10 - [스포츠] - 김연아 포스트 김해진 선수생명 위기? 부상 예고된 필연
'스포츠 > 김연아&피겨스케이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연아, 박태환 스토커가 되어 버린 기자들 (20) | 2010.11.18 |
---|---|
중국발 김연아 기사가 부끄럽게 하다 (17) | 2010.11.13 |
김연아 빠진 아사다마오 오서 조합 피겨 흥행위해 나쁜건 아니다. 다만.. (45) | 2010.11.01 |
김연아 오서 결별탓에 캐나다 그랑프리 흥행실패했다고? (23) | 2010.10.29 |
지소연, 김연아 소속사 올댓스포츠 한국실정에 무능한걸까? (19) | 201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