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B 사극 광개토태왕에서 왕위 계승을 두고 장자인 담망과 담덕를 밀려는 세력간에 다툼이 벌어지고 있다.
담덕을 미는 세력은 외세에 강력한 대응을 할 담덕을 밀고, 권력을 쥐고 있는 대신들의 신망을 얻고 있는 담망을 민다.
계략에 빠진 담망은 담덕이 자신를 배척하고 왕이 되지 않을까 우려한다. 담덕은 무대포 정신으로 무장해서 맨땅에 해딩하는 것으로 난국을 해쳐나가려 하지만, 대신들과 척을 지고 있다.
도대체 무대포 담덕이 왕이 되어야 한다는 당위가 없어져 보인다.
<광개토태왕>에서 나오는 담덕이 정말 광개토태왕을 극화했다면, 담덕은 왕이 되지 말아야할 조건을 두루 갖춘 왕이라고 할수 있다. 무대포 담덕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는 왕은 폭군이 될 확률이 100%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광개토 태왕의 작가는 왜 있지도 않는 담덕 위에 담망이란 존재를 만들었을까? 이는 다름이 아닌 세종대왕의 예를 들어서 담덕이 담망보다 고구려를 지키고 고구려 백성을 지키는데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그래서 세종의 윗 왕자들이 세종에서 세자위를 넘겼듯이 담망이 담덕에게 태자위를 양위하는 모양새를 만들고저 하는 것 같다. 중간에 담덕과 담망의 왕위 쟁탈전을 양념으로 넣겠지만 말이다.
왜 우리나라 사극은 기록을 무시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극을 이끌어 나갈까? 삼국시대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유일할 만큼 사료가 적다. 또한, 금석문이나 기타 유물도 적다. 오히려 광개토태왕 관련 자료가 많다면 많다고 할수 있다.
사료가 적다는 뜻은 사료를 무시하여야 하는 게 아니고 사료를 받아들여 사료간의 충돌을 얼마나 잘 분석하고 재 해석하는가의 여부이다. 몇 줄 되지도 않는 사료조차 무시를 한다면 사극으로서의 가치가 없다. 자료를 무시하는 순간 배는 산으로 간다.
드라마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왕이 되고자 하는 자들은 하나같이 왕궁에서 생활을 하지 않고, 왕성 밖에서 노비가 되거나 장사치가 되는 비루한 삶을 살아가다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알고 왕자가 되고 왕이 되는 드라마를 만든다. 그래야 극적이고 왕답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정상적으로 왕위를 잇고 왕 노릇 하면 왕답지 않다는 환상에라도 빠져 있는 것 인지 아니면 작가의 상상력이 부족한 것인지를 모르겠다. 만약, 극화되는 선덕여왕, 주몽, 무휼, 근초고 등 역대 왕들이 매번 비루한 삶을 살다가 왕들이 되었다면 그 나라는 국가로서 가장 기본도 되지 않는 나라들일 뿐이다.
광개토왕(廣開土王)의 이름은 담덕(談德)이고 고국양왕의 아들이다. 나면서부터 기개가 웅대하고 활달한 뜻이 있었다. 고국양왕이 재위 3년(386년)에 태자로 삼았고, 8년(391년)에 왕이 죽자 태자가 즉위하였다. 가을 7월에 남쪽으로 백제를 정벌하여 10성을 함락시켰다.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광개토왕
고구려 18대 왕 고국양왕은 384년 왕위에 오른다. 그리고 386년 13살인 담덕을 태자로 봉한다.
하지만, <광개토태왕>에서는 담덕은 아직도 태자가 아니다. 그렇다면 이는 384년에서 386년 사이의 역사를 극화하고 있다고 봐야한다.
13살도 안된 왕자 담덕이 어릴적 부터 자신의 형인 담망이 왕이 되었을 때 보위하려고 요동성에서 귀신장군을 했다는 것인가? 혹시 김일성이 솔방울로 수류탄을 만들고, 압록강, 두망강을 일위도강했다는 말을 믿는 것처럼 황망하기 그지 없다.
그렇다면 드라마 <광개토대왕> 작가는 왜 담덕의 나이를 13세 이상의 나이로 설정을 하였을까?
이는 광개토태왕비에 해답이 있다. 광개토태왕에는 분명히 이구등조(二九登祚)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29왕위에 오르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그래서 391년(신묘년) 29살에 담덕이 왕위에 올랐다고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담덕이 29세에 왕위에 올랐다면, 드라마 <광개토태왕>에서 386년은 29세 - (391-386) = 24살이 얼추 극중과 비슷해질 수가 있다. 더군다나 담덕역의 이태곤이나 담망역의 정태우가 수염을 기르고 나와야 되는 사춘기가 지난 성인들이라고 생각했다는 뜻이다.
그러니 당연히 아역들이 맡아야할 배역들이 성인들이 나와서 전쟁터를 누비고 왕위쟁탈전을 벌이는 것이다. 더불어 담덕이 성인으로 나와서 요동으로 책성으로 나돌아 다닐수가 있는 것이다.
소수림왕이 죽고, 18대 고국양왕 3년(386년)에 태자를 세우는데 어릴적부터 <제왕의 도>를 배울 수가 없다. 소수림왕이 언제 죽을 줄 알며, 후사를 언제 볼 줄 알고, 자신의 아들도 아닌 조카 담망이?, 왕위 승계 서열도 끝이 보이지 않는데 어릴적부터 제왕의 도를 배울수가 있겠는가? 담덕, 담망의 아버지 이련(고국양왕)이 역적모의를 하지 않았다면 말이다.
더군다나 담덕은 왕에 관심이 없고 왕이 될 형을 위해서 자신의 진로를 결정했는데 어쩔수 없이 왕이 되었다는 설정을 하고 있다. 담덕이 왕의 제 2자로 태어났지만, 천명을 받아 왕위에 올랐다는 설정을 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설령, 담덕이 20대의 팔팔한 청년으로 그렸다고 해도 담덕이나 담망이 미혼인 상태에 있다는 설정도 미흡하기는 마찬가지이다. 당시에는 15세 정도에 결혼을 하는 시대였다.
하지만, 광개토태왕비의 <이구등조(二九登祚)>는 <이팔청춘(二八靑春)>과 같이 2*8 =16세라는 뜻이지 28세라는 뜻이 아니다. 이구등조란 2*9=18세가 되어, 담덕이 18세에 왕위에 올랐다는 뜻이다. 담덕이 29세에 왕위에 올랐다면 <卄九(29)登祚> 또는 <二十九>登祚라고 표기를 했을 것이다.
드라마 광개토태왕은 첫단추인 담덕이 언제 왕이 되었는가? 담덕에게 형이 있었는가?부터 잘못 채웠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드라마가 광개토태왕이 아닌 무대포 토룡(지렁이)왕이 되어 가고 있다.
2011/08/08 - [역사이야기] - 광개토태왕, 대무신왕의 신마 거루는 어디가고 제왕지마가 한혈마?
2011/08/05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문종 승하와 김종서 좌의정 복귀 파국예고, 요코이야기 퇴출 미친짓?
2011/08/04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경혜공주와 정종 결혼 감정이입 안되는 이유는
2011/08/03 - [역사이야기] - 계백, 사택비 화장보다 백제 명품 황금갑옷 어디로 사라진것일까?
2011/07/28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시아버지를 사랑한 세령공주? 엽기.막장사극의 끝
2011/07/27 - [역사이야기] - 계백, 의자왕 어머니 선화황후 아닌 사택비 가능성 더 높다.
2011/07/17 - [역사이야기] - 광개토태왕이 부끄러운 KBS 사극, 시청료가 아깝다
'역사IN드라마 > 광개토태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개토태왕, 동북공정, 독도침탈보다 부끄러운 고구려 창조하기? (21) | 2011.09.04 |
---|---|
광개토태왕, 사극 강철검 만들면 강국이란 환상에서 나올까? 개그소재는 이제그만 (50) | 2011.08.28 |
광개토태왕, 담덕이 부끄러운 KBS, 동북공정보다 못한 이유 (32) | 2011.08.22 |
광개토태왕, 대무신왕의 신마 거루는 어디가고 제왕지마가 한혈마? (7) | 2011.08.08 |
광개토태왕이 부끄러운 KBS 사극, 시청료가 아깝다 (85) | 2011.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