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IN드라마/공주의남자

공주의 남자, 계백, 광개토태왕, 백동수 남주 수염없는 이유 키스신, 여배우 위한 배려인가?


최근 사극의 전성시대라고 할만큼 각 방송사마다  사극열풍이다.

SBS는 영정조시대 무사 백동수의 일대기를 극화한 퓨전사극, 또는 무협사극이다.  KBS1은 정통사극을 표방한 태왕 담덕의 일대기를 그린 광개토태왕, MBC는 백제의 마지막 충신(?)으로 알려진 계백의 일대기를 극화하고 있다.

또한, KBS는 수양대군(세조)와 김종서의 후손들간의 핏빛 멜로사극 공주의남자를 극화하고 있다.

영화에서는 최종병기 활로 병자호란 이후 가족애를 바탕으로 하는 조선국왕이나 지배층이 하지 못한 청나라에 복수하는 대리만족극을 영화화 하고 있다. 백동수 또한 북벌지계를 바탕으로 깔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극은 활을 제외하면 절대적으로 역사적인 인물을 극화하면서 해당인물과 관련된 인물간에 인과관계나 기본적인 생몰연대도 지키지 못하고 있다.

활의 경우는 단순히 병자호란이란 시대배경만 취하고 일반백성이 청나라에 복수하는 활극의 수준이다. 그러니 문헌 고증에서 자유롭다고 할수있다. 한마디로 무협만화나 무협지에서 자주 사용되어지는 시대설정이고 해당 시대에 있음직한 또는 있었으면 좋겠다는 작가의 희망을 작가의 창의력으로 매꿔가면 된다. 보는 이는 복수를 통한 대리만족이 주이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공주의남자나 무사 백동수, 광개토태왕, 계백은 역사적인 사건과 역사적인 인물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렇다면 사건과 이들 등장인물간의 기본적인 관계는 철저한 분석과 재해석이 있어야 한다. 


장르가 멜로가 되었던, 정통사극이 되었던, 퓨전사극이 되었던 이는 극에서 버릴수 없는 기본 설정이다. 그런데 기본적인 팩트나 인물을 작가의 상상력을 넘어서 임의대로 갖다 놓는다. 임진왜란시기, 김유신, 을지문덕, 연개소문, 이순신이 한 시대에 등장하는 것 만큼 어처구니가 없다.
 


더군다나 요즘 사극에서 나오는 모든 주인공들은 천방지축에 철없는 것들뿐이다. 광개토태왕에서는 담덕(이태곤)은 앞뒤분간도 못하고 돌격 앞으로 만 하고, 버럭 되기만 한다. 이런 왕자가 고구려의 태자가 되고 왕이 된다면 잘하면 효웅이고, 못되면 나라를 망칠 군왕이 될 것이 자명해 보인다.


드라마 무사 백동수에서는 백동수는 천방지축 앞뒤분간이 되지 않는 철없는 존재이다. 생각보다는 손이 먼저 나간다.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서 김승유는 정치가 어떻게 돌아가던 상관없이 사랑밖에 난 몰라라는 듯이 목숨이 경각에 달렸는데도 피를 흘리면서 도성을 돌아다니다 수양대군일파에 잡히고, 수장을 시키려고 탄 배에서도 탈출 중에서 민폐만 끼치다 간신히 살아난 후에도 수양대군의 집으로 원수의 딸인 세령을 잊지 못해 찾아간다.


하나같이 어리숙하고 천박지축에다 앞뒤분간도 못하는 인물들이 담덕이 되고, 김승유가 되고 백동수가 되고 계백이 된다. 작가들이 이들이 어리고 어리숙 했지만, 주변의 끝없는 관심과 사건을 겪으면서 성장 발전한다는 일반론적인 성장드라마 라고 말을 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운명론을 깊이 깔고 있는 드라마에서 성장드라마를 믹스를 하니 주인공들이 겉돌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이들의 공통점은 나이에 맞지 않게 담덕의 경우는 태자가 된 386년 12살도 되기 전에 털복숭이가 되어 수염도 멋지게 기르고 있다. 담덕은 조숙증에 걸렸던 모양이다.
 


이에 반해서 공주의 남자에서 1453년 계유정란 시기에 김승유나 신면이나 정종은 하나 같이 나이가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염 한자락 나지 않고 있다. 사실 신면이나 정종은 1453년 계유정란 시기 10대 중 후반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김승유는 극적이여야 한다는 작가의 소망과 시청자의 소망으로 죽었는데도 불구하고 10대 중후반으로 환생하여 신면과 정종과 죽마고우가 된다.


작가의 입장에서 얼마나 드라마의 시나리오가 극적이지 못하고, 금계필담의 일화가 극적이지 못해서 죽은자를 산자로 만들어 극적이도록 만들겠다는 작가의 고충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꼭 죽은 김승유가 아니여도 김종서의 손자가 등장한다면 더욱 극적이지 않을까?


아버지와 형만 수양의 손에 죽은 것이 아니라, 아버지도 죽고, 할아버지 김종서도 죽고, 큰아버지 김승규, 작은아버지 김승벽과 사촌 남자들은 씨가 말랐다면 더욱 극적이지 않을까? 한마디로 이름이 김승유일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오히려 손자가 더 극적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아니면 첩이 낳아 숨겨둔 막내아들이라면 그나마 봐줄만 하다. 그래야 공주의 남자 극안에서 시줄과 날줄처럼 정교한 기본 인물관계설정이 되기 때문이다.


무사 백동수에서도 여운이나 백동수는 나이도 먹지 않는다. 다들 불로초를 먹었나 보다.


드라마 계백에서 다루는 시점은 628년 가잠성 전쟁을 하던 전후 시기다. 많은 시청자들이 가잠성 전쟁을 애들 기마전보다 못하며 삼국시대에 무슨 애들 닭싸움보다 못한 전쟁이 있느냐고 말을 하면서 리얼리티가 없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비판받아야 할 건 가잠성의 닭싸움보다 역사왜곡이다. 628년 가잠성 전투는 백제의 처절한 패배로 끝나고 말았다. 하지만, 계백에서는 가잠성 전쟁이 백제의 승리로 묘사하고 있다.

 


그런데 600년 근처에 출생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의자나 교기는 30대에 수염을 말끔히 깎고 있다. 계백은 612년 선화황후가 죽은 시점에 태어난 것으로 극화하였다. 의자와 계백는 12살 차이가 난다. 계백은 17살로 충분히 나이가 어렸을 수도 있다.


하지만, 17살이면 사춘기가 지나고 털이 듬성듬성 날 때가 지난 나이다. 더군다나 생구(포로)생활을 하던 계백이 자라는 수염을 칼도 없이 자를 여력은 없었을 것이다. 계백과 한 살 차이인 이복형인 문근은 계백이 사비로 돌아왔을 때 덥수룩하고 멋진 수염을 달고 나온다. 드라마 내에서 일관성도 없다.


털 없는 원숭이도 아니고 거세가 되어 털이 나지 않는 내시라도 된 것 같다. 아무리 역사와는 무관한 여성주의 사극이 대세라고는 하지만, 주인공들을 시대에 맞지 않고 개연성도 없이 내시들로 만들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
 


한마디로 극의 리얼리티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정통사극이던 멜로사극이던 퓨전사극이던 그 시대 맞는 얼굴모습은 하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주인공들이 하나같이 미성숙에 무모증 환자 이거나 담덕처럼 남성호르몬 과다 분비에 걸렸다는 개연성도 없을 뿐만 아니라 극적이지도 않다. 오히려 극의 몰입을 방해할 뿐이다.


물론, 요즘 대세인 남성 배우들 복근도 보여주어야 하고, 키스신도 보여주어야 하는데 주인공의 수염은 극의 몰입을 방해할 수는 있겠다. 키스하다 여배우의 얼굴에 상채기라도 나게 되면 큰일이고, 수염이 입속에 들어간다면 그것도 난감하기는 하겠다.
 


거품키스나 사탕키스나 수중키스신, 부채키스는 가능해도 수염키스신는 시청률에 지장을 줄만하겠다. 드라마에서 키스 리얼리티를 위해서 직접키스를 하는 것이 대세이고 대충 하는 척 만 했다면 욕을 먹고, 한 키스신도 롱컷, 남자컷, 여자컷, 중간컷, 줌인, 줌아웃, 회전컷 등 여러 컷으로 따로 촬영해서 여배우의 얼굴과 입술이 남아나지 않을 것은 자명한 건 충분히 이해한다.


사택비의 스모키 찢어진 눈화장이 낯설다고 하지만, 당시 귀족여성들의 화장은 사택비처럼 하는 게 유행이었다.


왕회도

위의 그림은 당나라시기  왕회도에 나온 백제의 사신이다. 백제의 사신은 나이가 어렸음을 쉬이 알수 있다. 왕회도에 등장하는 백제사신이 누구였는지 다음 기회에 다룰예정이다. 사극에서는 항상 굽있는 가죽신이 나오지만, 위의 그림에서도 알수 있듯이 어떤 나라도 가죽신에 굽이 있는 신발은 없다.
 

오히려 남성들이 나이를 먹었는데도 불구하고 수염 한자락도 없다는 것이 문제일 뿐이다. 그렇더라도 면도하는 장면 정도는 극중에 넣어 주는 게 시청자에 대한 예의이고 극중 리얼리티가 사는 것이 아닐까?
 

양직공도에 나온 백제사신의 모습이다.

수 십 억에서 백억 이상 들여서 전투신은 닭싸움을 하더라도 청담동 마님표 한복이나 첨단 전투복, 전투화도 지급하는데 칼면도 보다는 전기면도나 6날 최첨단 전기면도기가 나을 것 같다.


어짜피 역사와 무관한 사극인데 극중장치 만 있으면 되지 않겠는가? 극중장치가 없더라도 가능한 상황이긴하다. 어짜피 고증은 하지 않는 사극이니 말이다. 오히려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한 고증을 하면 촌스럽다는 소리나 듣는 세상이 도래했으니 말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극하면 오래된 역사의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극이나 현대 시대극은 같은 계열이다. 극에 맞는 환경과 시대상황을 고려해야 하고 인물 관계설정은 기본 중에 기본이다.


혹시 아는가? 당시에 전기면도기나 6날 최첨단 면도기가 있었을지도, 부츠에 키높이 굽에 미끄럼방지 홈이 있는 전투화나 가죽신도 나오고, 생구(포로)가 첨단가죽신도 신는 판에 6날 전기면도기야 애교수준이지 않을까?


사극에서 면도기 PPL 광고가 나온다면 대박을 칠 것 같다. 그래도 외국제품은 제외해주었음 하는 바람이다. 독일제, 미제, 일제제품이 나온다면 그래도 사극인데 문제가 있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면 최소한 주연배우들이 수염에 대한 놀림을 받았다거나 콤플렉스가 있다는 정도의 설정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단순히 나이가 어리다는 설정이나, 어려야한다는 이유만으로는 털없는 원숭이로 현재 극화된 사극의 주인공의 모습 들은 이해할 수가 없다.

2011/09/23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불쌍한 신면과 배신자 사육신 어떻게 충신 아이콘 되었나?
2011/09/22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이개, 성삼문 등 절손된 사육신 어떻게 대를 이었을까?
2011/09/22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신숙주와 사육신 가른건 편향된 종교관 때문?
2011/09/22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김승유 스승 이개 알고보면 계유정란공신, 사육신 단종폐위 좌익공신들
2011/09/21 - [역사이야기] - 계백, 의자왕, 반란 실패한 사택비 죽고, 교기 왜로 쫓겨난다?
2011/09/21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김승유 적과동침, 단종 죽인건 사육신 충신인가? 배신 아이콘인가?


2011/09/02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우사인볼트보다 빠른 세령공주, 김승유 구하기 뻔한 스토리 식상하다

2011/09/01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스토커 김승유가 죽어야 드라마가 산다

2011/08/28 - [역사이야기] - 광개토태왕, 사극 강철검 만들면 강국이란 환상에서 나올까? 개그소재는 이제그만
2011/08/26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세령공주 김승유 아닌 김종서 서자의 아들과 사랑할것 - 식스센스 반전을 기대해본다
2011/08/25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민폐 김승유, 박시후 잘못인가? 작가 잘못인가?
2011/08/24 - [역사이야기] - 계백, 의자왕 아저씨는 가잠성 성주 알천이 아닌 김유신이다?
2011/08/23 - [역사이야기] - 공주의 남자, 승유, 의자왕, 계백, 교기, 수염만 없으면 미성년인가? 그리고 언제나 김유신은 노예상?
2011/08/22 - [역사이야기] - 광개토태왕, 담덕이 부끄러운 KBS, 동북공정보다 못한 이유
2011/08/10 - [역사이야기] - 계백, 예수가 된 의자왕? 왜곡 달인 조선일보에도 욕먹는 사극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