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IN드라마/계백

의자왕, 계백 연인 은고 빼앗은 파렴치한 일까? 사실 계백 은고의 사랑은 불륜


<계백>에서 은고와 계백은 어릴적부터 서로 마음을 주고 사랑하는 사이다.


의자왕 또한 은고를 사랑하지만, 계백과 은고가 사랑하는 사이임을 알고 있지만, 자신의 욕망을 감춘다.


그리고 마침내 사택비를 몰아내고 태자가 되자 자신의 욕망을 분출하고 계백에게서 은고를 빼앗는다.


그렇다면 계백과 은고가 사랑하는 사이일수 있을까?


은고나 계백이나 의자왕은 실존인물이다.


의자왕은 백제의 마지막왕(?)이다. 하지만, 실제 마지막왕은 의자왕의 아들인 부여풍이다.


또한 중국 건안성에 있던 백제왕은 의자왕 아들 부여융이였다. 의자왕이 당에 항복하고 백제는 웅진도독부가 설치되었고 부여융은 웅진도독이 되어서 백제를 다스리려 하였다.


하지만 신라에 의해서 웅진도독부는 철폐되고, 당은 웅진도독부를 요동의 건안성으로 옮기고 당은 부여융에게 웅진도독 백제왕을 하사한다. 하지만, 건안성 백제는 발해에 의해서 흡수 통합된다.


부여융은 죽어서 무덤을 남기고 묘지명까지 남겼다. 부여융은 615년에 태어나 68세까지 살고 682년에 죽었다.


계백은 언제 태어났는지 알 수 없다. 단지, 660년 7월 계백은 탄현(침현)을 넘어온 신라 수송부대와 전투부대로 구성된 5만의 군대를 막기위해서 출전을 한다. 계백은 자신이 죽고, 처자식이 신라나 당나라의 노비가 될 것이라며 가족을 죽이고 출전한다. 이를 계백의 결의로 해석을 하는 경우가 많다.


660년 계백에게는 처와 자식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계백은 최소 30대는 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계백과 은고는 드라마 <계백>처럼 사랑하는 사이일수가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절대로 불가능하다. 은고는 부여융의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百濟王 義慈, 그 妻 恩古(은고), 그 아들 隆(융) 등, 그 신하 佐平 千福, 國辨成, 孫登 등 모두 50여 명이 가을 7월 13일에 蘇將軍에게 사로잡혀 唐에 보내졌다. - 일본서기



드라마 <계백>에서 계백과 은고는 612년에 태어난 것으로 그리고 있다. 612년에 태어난 은고가 615년에 부여융을 낳을 수가 없다.


물론, 의자왕의 처 은고와 그 아들 융이, 의자왕의 처 은고와 의자왕의 아들 융으로 해석해서 은고가 부여융의 어머니는 아니지 않느냐고 할수도 있다.

 


하지만, 은고가 의자왕의 정비임은 쉽게 알 수가 있다. 더군다나 은고는 대부인이였고, 백제 멸망의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일본서기와 대당평제비에는 기록하고 있다.

 

어떤 책에는 ‘경신년(제명천황 6년, 660) 7월에 이르러 百濟가 사자를 보내, 唐과 新羅가 힘을 합해 우리를 공격하여 이미 義慈王과 왕비, 태자를 포로로 하여 갔다고 아뢰었다.


하물며 밖으로 곧은 신하를 버리고 안으로 요망한 계집(祅婦)을 믿어 오직 충성되고 어진 사람한테만 형벌이 미치며 아첨하고 간사한 사람이 먼저 총애와 신임을 받아 표매(標梅)에 원망을 품고 저축(杼軸)에 슬픔을 머금는다......'

- 대당평백제국비명(김영심 역)


어떤 사람은 “百濟가 스스로 망하였다. 임금의 大夫人이 요사스럽고 간사한 여자로, 무도하여 마음대로 국가의 권력을 빼앗고 훌륭하고 어진 신하들을 죽였기 때문에 이러한 화를 불렀다. 삼가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삼가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 하였다. - 일본서기 660년



결국에는 은고가 백제 의자왕의 왕비이고 대부인으로 간사하고, 요사스럽고, 요망하다고 한것이다. 백제의 멸망의 원인은 결과적으로 의자왕에게 있겠지만, 실제는 은고가 무도하여 마음대로 국가의 권력을 빼앗고, 훌륭한 신하들을 죽였기 때문에 화를 불렀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성충도 은고에게 죽은 사람가운데 하나이다.
  

16년(656) 봄 3월에 왕은 궁녀와 더불어 주색에 빠지고 마음껏 즐기며[淫荒耽樂] 술 마시기를 그치지 아니하였다.


좌평 성충(成忠)<혹은 정충(淨忠)이라고도 하였다.>이 극력 간언하자 왕은 분노하여 그를 옥에 가두었다. 이로 말미암아 감히 간언하는 자가 없었다. - 삼국사기


의자왕 19년(659) 봄 2월에 여러 마리의 여우가 궁궐 안으로 들어왔는데 흰 여우 한 마리가 상좌평(上佐平)의 책상[書案] 위에 앉았다. - 삼국사기 백제



위의 기록은 참요의 성격이 강하다. 여우란 여성을 뜻하고, 궁에 들어온 후비들일 가능성이 있다. 의자왕 17년(657년)의 서자 41명에게 좌평과 식읍까지 둔 것을 염두해 두고 국정을 농단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흰 여우 한 마리“는 여러 여우 중에 가장 늙은 여우를 뜻하고 왕비 <은고>를 뜻하는 것이다. 대 놓고 은고가 백제를 망하게 했다는 기록은 일본서기에 보인다.


은고는 의자왕의 처, (군)대부인, 왕비이다. 은고가  아닌 백제의 사비성(부여성)에서 왕을 참칭한 태자 부여태의 어머니이고, 부여융의 어머니는 아닐지 모른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태자 부여효의 아들 부여문사가 부여융에게 부여태 둘째 작은아버지가 왕을 참칭한것은 후에 후환이 두렵다고 말을 하고 사비를 버리고 당에 항복해버린다.


삼국사기, 일본서기, 대당평제비 등을 살펴보면 644년 부여융은 태자가 되었다가 어느 순간 부여효에게 태자를 빼앗기고, 백제가 망한 후에는 다시 태자가 되어 당으로 끌려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은고는 부여융의 어머니는 될 수 있지만, 요녀는 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설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다뤄보고자 한다.


어쨌든, 은고는 615년에 태어난 부여융의 어머니이고, 백제의 마지막 왕비인 대부인으로 당에 끌려가고 의자왕은 661년~662년경에 죽는다.


의자왕이 무왕 33년 632년에 태자가 되었을 때 615년에 태어난 부여융은 나이가 18살이었다.

632년 18살 아들 부여융을 둔 은고에게 계백과 사랑하는 사이로 설정할 수는 없다. 드라마 <계백>처럼 은고와 계백과 의자왕이 삼각관계였다면 계백과 은고가 불륜관계일수 밖에 없다. 계백은 태자비를 사랑한 왕비의 남자인 것이다. 설마 시청자들이 유부녀이자 18살 아들이 있는 은고가 자식과 비슷한 나이의 계백을 사랑했을것이라고 믿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순신 장군이 선조의 비와 사랑하는 사이였고 선조가 이순신의 연인을 빼앗었다고 그렸다면 어찌되었을까? 아무리 역사교육도 제대로 받지 않는 시청자들이 많다고 해도 드라마 한계성이라는 것이 있다.
 
차라리 은고가 아닌 창조된 인물을 다뤘다면 상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은고와 계백과 의자왕은 실존인물이고 은고가 부여융(615년생)의 어머니임에 분명함으로 은고와 계백의 사랑은 다뤄질수가 없다. 계백이 의자왕과 비슷한 나이로 설정하고 시대 배경이 부여융이 태어나기전인 615년 이전이 아니라면 말이다.

하지만, <계백>은 612년에 은고와 계백이 태어났고 632년에 은고를 빼앗는 것으로 그리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731부대가 독립군 부대이고, 박정희가 독립군 생활을 했다고 그리는 것만큼 웃기는 설정이다. 불가능에 도전한다면 못할것도 없지만, 그에 맞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드라마 <계백>에서는 의자왕이 태자가 된 후 계백의 연인 은고를 빼앗은 것으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또한, 백제가 망한 이유를 의자왕과 백전백승의 계백이 여자 은고를 두고 싸움을 하는 반목 때문에 백제가 망한 것으로 그리고 있다. 의자왕이나 계백이나 은고는 죽어서도 눈을 감을 수 없지 않을까?
 

642년 가을 7월에 왕은 친히 군사를 거느리고 신라를 쳐서 미후성(獼猴城) 등 40여 성을 함락하였다.


하지만, <계백>에서는 계백이 미후성을 비롯한 성을 함락시켰다고 말하고 있다. 왕이 친히 군사를 이끌었는데 계백이 39성을 함락한 후 마지막 40번째 성을 함략하기 전에 의자왕이 계백의 공을 가로채기 위해서 그랬다고 성충과 흥수의 입을 빌려서 의자왕은 나쁜놈이라고 덧씌우기 까지하고 있다.
 


아무리 드라마이지만, 지켜야할 선이 있다. 삼각관계를 그리고 싶다면 그럴듯한 설정을 해야하고 계백을 영웅으로 만들고 싶다면 합리적인 해석이 있어야한다.

하지만, <계백>에서는 계백을 영웅으로 만들고, 사랑의 피해자로 만들기 위해서 의자왕의 정비인 <은고>를 계백과 사랑하는 사이로 그리고 의자를 단순히 영웅 계백을 질투하고, 시기하는 존재로 그려가고 있다.


재미있게도 <계백>에서는 비중이 있었던 윤충이 사라졌다. <광개토태왕>에서 돌비수도 사라졌다. 의자왕이 직접군대를 이끌고 공취한 미후성을 비롯한 40개성이 계백이 한 것처럼 그렸듯이 윤충이 1만 군대를 이끌고 대야성을 점령한 것도 계백이 한일로 그릴태세이다.


<계백>에 계백은 당항성을 비롯한 한성이북을 회복하겠다고 의자왕에서 이야기한다.


군 통수권을 장악하고 있는 왕이 명령도 하지 않았는데 계백이 당항성과 한성이북을 회복하겠다고 말하는 장면은 시청자에게는 카타르시스를 느낄지는 모르지만, 의자왕이 무슨 계백이 넘볼 수 있는 껌이나 앉을 수 있는 의자는 아니지 않는가? 계백이 무슨 의자왕위의 상왕이라도 되는가?


<계백>은  백제의 마지막왕 의자와 계백으로 백제의 역사를 재조명한다고 밝히고 있다. 재조명과 역사망치기는 구분해야한다.

실시간  만들어진 대본으로 만든 생방송 사극의 한계를 보는듯하다. 그렇더라도 지킬 것은 지키고 드라마를 만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