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IN드라마/계백

의자왕, 은고, 윤충 죽어야 영웅 될만큼 계백 한심한 인물이었던가?


의자왕과 은고의 배신으로 변방으로 떠돌던 계백은 의자왕에게 복수하기 위해서 이 자리에 섰다고 말을 한다.

 

의자왕은 계백에서 그래 복수를 할 힘을 가졌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어본다. 계백은 아직 멀었습니다.

당항성을 빼앗고 한수 이남을 회복한다면 더 이상 의자왕에 기대하지 않고, 의자왕이 어찌 할 수 없는 존재가 될 것이니 그때 복수를 할 힘을 생길 것이라 말한다.

 

의자왕은 계백에게 미후성을 공취하라고 기병을 계백에게 주고 서울 사비로 돌아온다. 하지만, 계백은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고 바람타령만 하고 있다.

 

<계백>은 장르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드라마 제작자가 밝힌 제작의도에는 백제의 마지막 영웅을 그리고 백제를 재조명하고자 한다는데 <계백>에는 그 어디에도 백제의 영웅다운 모습은 없다. 그저 계백과 의자왕과 은고의 삼곽관계 사랑놀음에 목 매인 찌질한 모습들 뿐이다.

 

더군다나 <계백> 휘하의 군졸들은 의자왕이 하사한 술까지도 받아드리지 않고 멋있는 척은 다한다. <계백>의 눈치를 살피지만, 계백은 의자왕에 자신의 부하들을 그냥 두라는 듯이 군기를 들먹인다. 백제의 왕은 군 통수권자인데 군 통수권자의 명을 거절하는 게 군기와 어떠한 관계가 있을까? 요즘 사극 너무 쉽게 쓴다.

 

최근에 드라마 <계백> 시대에 대단한 발견이 웅진(공주) 공산성에서 나타났다. 다름아닌 백제의 당대 최고 명품 수출품인 명광개다.

 

명광개는 백제의 섬에서만 나는 황칠로 옻칠한 갑옷을 말한다. 하지만, 드라마 <계백>에는 명광개는 등장하지 않는다. 짝퉁 명광개만 등장을 한다. 드라마 <계백>에서 고증을 발견한다는 것은 낙타가 바늘 구멍을 통과하는 것만큼 힘들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마찬가지로 드라마 <계백>에서 계백은 어디에도 없고, 단지 백제의 마지막왕 의자왕을 까기 위한 도구로 계백이 등장할 뿐이다. 작가는 그저 계백의 사랑을 빼앗았기 때문에 백제가 망한 것처럼 그리고 있다.

 

백제 서울 사비(부여)에 나타난 김춘추는 당항성을 공취 하기에는 백제의 힘으로는 힘들다고 말을 한다. 그리고 고구려에는 연개소문이란 자가 있는데 그와 힘을 합친다면 가능하다고 말을 한다. 그리고 연개소문은 곧 고구려에서 반정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을 한다. 연개소문의 반정은 641년에 이뤄진다.

더 좋은 방법은 신라와 백제가 당항성을 같이 사용하면 백성들이나 군사 피해가 없다고 말을 한다.
 

지난해 6월 아우 왕자가 죽고, 가을 9월에 大臣 伊梨柯須彌가 대왕과 伊梨渠世事 등 800여명을 죽였습니다. 그래서 아우 왕자의 아들을 왕으로 삼고 자기와 같은 姓氏인 都須流金流를 大臣으로 삼았습니다
- 일본서기 황극 642년 

백제 조문사의 從者 등이 “지난해 11월 大佐平 智積이 죽었습니다. 또 백제 사신이 崑崙의 사신을 바다에 던졌습니다. 금년 정월에 국왕의 어머니가 죽었고 또 아우 왕자  翹岐와 누이동생 4명, 內佐平 岐味 그리고 이름높은 사람 40여명이 섬으로 추방되었습니다. - 일본서기 황극 642년


연개소문의 반정이 641년 9월로 먼저이고, 642년 정월 의자왕이 왕이 될때의 반란군 진압은  그 이후다.  선후 관계가 뒤바뀌었다. 의자왕이 김춘추의 말을 듣고서야 고구려 정세를 알았다면 백제왕으로서 문제가 있는것이 아닌가? 왜에게도 알려진 사실을 말이다.


 <계백>에서 교기와 사택비가 반란을 하다 사라진것을 의자왕이 태자시절이전에 있었던 일이라고 그리고 있지만, 의자왕이 왕이 된 때 일어난 일이다.

<계백>의 시제는 의자왕 2년 642년이다. 그리고 미후성을 비롯한 40개 성의 공취는 642 7월에 의자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이뤄진 일이다. 곧바로  8월 윤충에게 1만의 정예를 동원해서 대야성을 공취한다. 당항성 문제는 그후 한참후인 643년경의 일이다.

더군다나 백제는 당항성을 신라와 같이 써야할 만큼 대외활동을 못할 정도가 아니였다. 백제는 당항성이 없더라도 대외외교는 활발히 하였다. 도대체 백제를 뭘로 알고 백제드라마를 만들고 있는지 모를정도이다.
 

643겨울 11월에 왕은 고구려와 화친(和親)하고 신라의 당항성(黨項城)을 빼앗아 [당나라에] 조공하는 길을 막고자 하였다. 마침내 군대를 발동하여 공격하니 신라 왕 덕만(德曼)[선덕왕]이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요청하였다. 왕이 이를 듣고 군대를 철수하였다.
- 삼국사기 백제 의자왕 643년


어쨌든, <계백>에서 극우 독개는 자신보다 상위 직급에 있는 계백의 수하들에게 반말을 한다. 군의 위계질서를 말하는 계백이 의자왕에게 맞먹는 것처럼 16등급 중 최말단인 극우 독개도 막 나간다.

 

의자왕은 계백에게 당항성 침략을 미루고 사비로 돌아오라고 한다. 하지만, 계백은 의자왕에게 장계를 올려 당항성 침략은 미룰 수 없다며 백제의 왕인 의자왕에게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말한다.  왕위에 왕이 백제의 계백이다. 그리고 계백을 따르는 성충과 흥수는 간적 중의 간적이다.

 


은고는 계백에게 자신을 너무 내몰고, 은고 자신도 버리려 하느냐고 말을 한다. 유부녀 은고는 참으로 뻔뻔하다 이보다 더 이상 막 나갈 수가 없다. 이정도 되면 이들 사랑은 절절하게 다가와야 하는데 문제는 <공주의 남자>에서는 귀신과 사랑을 나누고 , 죽은 김승유가 조카며느리와 사랑을 한다는 김승유와 세령공주의 황당한 설정에도 시청자들이 광분을 하며 드라마인데 뭐 어때라는 막장 반응을 보여주었기는 하지만, 멜로사극이라고 하기에는 은고와 계백의 사랑이 시청자들에게 다가서지 못하고 있다.


백제 당시 최고의 장군은 누구였을까? 계백일까? 이는 천만의 만만의 말씀이다. 계백은 단지 황산벌 전투에 참전하여 전사하였기 때문에 영웅이 된 게이스다. 더군다나 계백에게는 한 가족몰살을 시키고 출전한 드라마틱한 모습과 신라 어린 화랑을 살려 보냈다는 이야기까지 있었기 때문에 영웅이 된 것이다.
 
계백은 그저 그런 백제의 수 많은 장군 중에 한 명일 뿐이다.
 
왜냐하면 백제 멸망 시 백제 오 천명의 군대는 조족지혈이었다. 백제의 주적은 백강(백마강)을 타고 밀물처럼 밀려오는 당군 13만이지 탄현(침현)을 넘어온 신라의 5만 병력은 안중에도 없었다. 백강으로 몰려오는 소정방 당군 13만과는 별도로 신라 함선 백척에 탄 신라 병사까지 있었다. 황산벌 전투가 벌어지는 7월 9일 같은날 백강에서는 당과 신라 연합군 수십만명과 전투에서 백제는 수 만명이 죽었다.

음력 7월은 아직 곡식이 여물지 않아서 군량을 백제에서 현지 조달하기에는 부족했다. 김유신의 군대의 주 임무는 당군 13만과 신라 100척 군선에 승선한 신라군사들의 군량미를 조달하는 수송부대 역할이었다.
 

계백 660 7 9일 황산벌 전투에서 직급은 달솔이었다. 달솔은 백제 주군제에서 군장급으로 백제의 군 편제상 1,200명에서 700명 정도의 군인를 움직일 수 있다. 그러니 5천의 군대를 명령할 계백보다 높은 상위직급이 전투를 지휘 해야 한다.

5
천의 별동대가 황산벌에서 3군데 진을 친 이유가 달솔들이 군을 지휘하는 단위로 진을 친 것이다. 계백 3군데 진을 친 부대의 한 부속부대 장군이거나 5천 별동대의 중앙군 역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관해서는 황산벌 전투를 하기전에 자세히 다루려고 합니다.

 

계백을 영웅화 하는 것은 좋으나 드라마 <계백>에서 미후성을 비롯한 40개 성 공취를 의자왕이 아닌 계백이 한 것으로 그리고, 전쟁의 신 계백처럼 만들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의자왕을 인면수심의 왕으로 그릴 필요도 없다. 더군다나 윤충도 죽일 필요까지 없다. 역사를 왜곡해서라도 윤충과 의자왕이 죽어야 영웅이 되는 계백이라면 진정한 영웅은 아닐것이다.


642년 7월 이후 김춘추가 왜 백제 서울 사비(부여)에 나타나는 무리수를 두나? 도플갱어인가?
 

6427월 미후성과 40개성을 공취한 후 8월 바로 대야성을 공취하는 데 대야성 성주 품석은 김춘추의 사위이고, 딸은 고타소였는데 성이 함락 된 후 윤충에게 목베임을 당했다. 김춘추는 그전부터 신라 서울 경주에서 있었고, 딸 고타소와 사위 품석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 며칠 동안 곡기까지 끊었다고 한다.

가을 7월에 왕은 친히 군사를 거느리고 신라를 쳐서 미후성(獼猴城) 등 40여 성을 함락하였다.

8월에 장군 윤충(允忠)을 보내 군사 1만 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대야성(大耶城)을 공격하였다.

성주 품석(品石)이 처자와 함께 나와 항복하자 윤충은 모두 죽이고 그 머리를 베어 서울[王都]에 전달하고, 남녀 1천여 명을 사로잡아 나라 서쪽의 주·현(州縣)에 나누어 살게 하였다.

[그리고] 군사를 남겨 두어 그 성을 지키게 하였다. 왕은 윤충의 공로를 표창하여 말 20필과 곡식 1천 섬을 주었다.
 
- 삼국사기 백제 의자왕 2년


김춘추가 백제에게 원한을 갖고 대외 활동을 시작한 건 대야성에서 딸 고타소가 죽고 난 이후부터다. 그러니 드라마 <계백>에서 김춘추가 한가히 백제 서울 사비(부여)에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더군다나 김춘추가 당의 복식을 입고 나타난다는 발직한 상상력은 뒷목까지 당기게 한다. 

신라가 당의 복식을 입기 시작한 건 김춘추에 의해서이지만, 이는 한참후에 일이다. 드라마 계백은 견적이  안나올 정도이다. 물론, 사극을 보는 글쓴이(갓쉰동)에게는 글 소재를 많이 제공하고 재미가 있기는 하지만, 너무 틈이 많아서 일일히 드라마속의 역사이야기를 할수없을 정도이니 짜증이 밀려온다.


최소한 계백을 통해서 백제를 재조명하겠다는 광오한 출사표를 내고 극화했다면 고증은 안되더라도 문헌고증 정도는 해야 하지 않을까? 아무리 이순신 장군이 전신이라고 해도 평양성 전투와 행주산성 전투, 진주성 전투에 참전할 수 없지는 않겠는가? 어쨌든,

사극은 역사를 알고 보면 남보다 다른 배로 재미가 있다.

2011/10/17 - [역사IN드라마/계백] - 의자왕, 계백 연인 은고 빼앗은 파렴치한 일까? 사실 계백 은고의 사랑은 불륜
2011/08/03 - [역사IN드라마/계백] - 계백, 사택비 화장보다 백제 명품 황금갑옷 어디로 사라진것일까?
2009/07/10 - [역사IN드라마/선덕여왕] - 선덕여왕, 신라에서 백제 특산물 황칠을 찾는 수나라

2011/10/14 - [역사IN드라마/뿌리깊은나무] - 뿌리깊은나무, 강채윤, 성삼문 불량기와 막말 불량왕 세종 오마주 투 노무현? 제대로 고증한 보기드문 명품사극
2011/10/13 - [역사IN드라마/뿌리깊은나무] - 뿌리깊은나무, 밀본 정기준 죽이려는 이방원? 사실은 정도전 형제와 후손에 관대했다
2011/10/13 - [역사IN드라마/뿌리깊은나무] - 뿌리깊은나무, 성삼문,신숙주 훈민정음(한글) 창제 참여한적 없다 - 잘못된 상식 한글 제자리찾기

2011/10/09 - [역사IN드라마/공주의남자] - 공주의 남자, 훈민정음(한글)창제 성삼문 요동밀사는 세종 모독인 이유 - 한글날 제자리찾기
2011/10/08 - [역사IN드라마/공주의남자] - 공주의 남자 결말, 김승유 세령공주 만난 수양대군 귀신인 이유
2011/10/07 - [역사IN드라마/공주의남자] - 공주의 남자 결말, 김승유 세령공주 때문에 억울한 누명 쓴 신면
2011/10/06 - [역사IN드라마/공주의남자] - 공주의 남자, 경혜공주 모 시체 바다에 버렸다는 사림의 선동결과
2011/10/06 - [역사IN드라마/공주의남자] - 공주의 남자, 경혜공주 관노비 없었고, 아들 정미수 수양대군 지어준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