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삼한일통의 초석을 다진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일대기를 다룬 대왕의 꿈이 KBS에서 200억 대작으로 시청자의 소중한 시청료로 만들어 지고 있다.
대왕의 꿈 1회에서 김춘추(
최수종은 또다시 사극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최수종의 사극은 너무나 뻔한 캐릭터다. 고려왕건이 신라 김춘추가 되고 해신 장보고가 된다. 오죽하면 고려를 건국한이는 최수종이라고 하겠는가? 배우에게 대단한 칭찬일수는 있지만 최수종에게는 짐이되기도 한다.
글쓴이(갓쉰동)은 누가 주인공이 되던 상관하지 않는다. 글쓴이가 주로 보는 것은 작가와 연출자의 개연성 있는 스토리와 역사의 이해도 일뿐이다.
다만, 같은 패턴에 같은 캐릭터를 고수한 최수종의 연기는 식상하기는 하다. 충분히 KBS는 사극할 만 사람이 최수종 밖에 없냐는 비판을 심각하게 생각해 볼 필요는 있다.
어쨌든, 김유신은 화랑의 상징이라고 하는 얼굴에 분칠을 하고 있다.
김서현의 명에 의해서 신라 서나벌(경주)로 온 김유신은 천관녀를 희롱하던 화랑들을 무찔려 구하고, 화랑이 되려 하지만 신분과 어머니 만명(숙흘종/만호)과 김서현의 도주로 인한 외할아버지 숙흘종(입종갈문왕의 아들, 진흥왕의 동생)의 반대로 화랑이 되지 못한다고 나온다.
그런데 연예부 기자가 대왕의 꿈이 대작으로 정통 명품사극에 명불허전이라며 칭찬하기 바쁘다.
이날 방송은 역사 속 운명의 소용돌이에 함께 휘말릴 김춘추와
고증을 통한 신라시대의 의상과 장신구 등도 시청자의 눈을 단번에 사로잡았다.
- 기사중 일부 -
연예부 기자들이 말한 신라시대 고증과 역사적인 근거를 찾아보자.
드라마 연개소문에서 603년 북한산성 전투에
김춘추가 쓰고 있던 왕관은 신라 중기시대에 출토된 날출(出)자 신라금관 중에서 단이 가장 많은 4단 가지를 가지고 있다. 더불어 김춘추의 허리춤에는 신라릉에서 출토된 옥대를 차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를 두고 신라시대의 왕의 복식을 복원했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글쓴이(갓쉰동) 이 볼 때는 이상하고 이상하다.
진평왕, 선덕왕, 진덕왕은 옥대를 차고 있을 수가 있다. 삼국유사에 진평왕의 천사옥대 이야기가 나오고 천사옥대는 신라의 3대 보물 중에 하나였다고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는 전하고 있다.
경명왕 5년(921년) 봄 정월에 김율 (金律)이 왕에게 고하여 말하기를,
“신이 작년에 사신으로 고려 에 갔을 때 고려 왕이 신에게 물어 말하기를, ‘신라에는 세 가지 보물이 있으니, 장육존상(丈六尊像)과 구층탑(九層塔) , 성대(聖帶)를 이른다고 들었다. 장육존상과 구층탑은 아직도 있으나, 성대가 지금까지도 있는지는 알지 못하는데, 그러한가?’라고 하였는데, 신은 답하지 못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이를 듣고 여러 신하들에게 물어 말하기를,
“성대는 어떤 보물인가?”라고 하였으나, 아는 자가 없었다.
이때 황룡사(皇龍寺)에 90세가 넘은 승려가 있었는데, 말하기를
“제가 일찍이 그에 대해 들었는데, 보대(寶帶)는 진평왕 (眞平王)이 착용하던 것이라고 합니다. 대대로 전해져 남고(南庫)에 보관되어 있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마침내 창고를 열도록 명하였으나 찾을 수 없어, 다른 날 재계(齋戒)하여 제사를 지낸 이후에 그것을 찾았다. 그 성대는 금과 옥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매우 길어 보통 사람들이 맬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그런데 KBS는 고증을 하였다고 한다. 웃기는 장면은 김춘추가 금관을 쓰고, 옥대를 차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654년 진덕왕의 뒤를 이어 왕이 되는 김춘추가 천사옥대에 해당하는 옥대허리띠를 차고 있을 수 없고, 김춘추가 황금관 쓰고 있을 수 없다. 왜냐하면 김춘추가 진덕왕 시기 법흥왕 이후 자리잡았던 신라 복식을 모두 당나라 식으로 바꿔 버렸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648년 진덕왕 2년 [김] 춘추는 또 장복(章服)을 고쳐서 중국의 제도에 따를 것을 청하자 이에 내전(內殿)에서 진귀한 옷을 꺼내어 [김] 춘추 와 그를 따라 온 사람에게 주었다. 조칙(詔勅)으로 [김] 춘추 에게 관작을 주어 특진(特進) 으로 삼고, 문왕 을 좌무위장군(左武衛將軍)으로 삼았다.
649년 진덕왕 3년 봄 정월에 비로소 중국의 의관(衣冠)을 착용하였다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복식이 바뀌자 일본서기에는 왜에 사신으로 온 신라사신에게 신라의 복식이 당복식으로 바뀌자 비아양하기까지 했다. 니들 나라는 자존심도 없냐? 당복식으로 바꿔 스스로 당나라 속국이 되려하느냐고 말이다.
김춘추 스스로 당에 들어가 신라 복식을 당나라 복식제도로 바꾸었는데 김춘추가 왕이 되자 다시 황금관을 쓰고 옥대를 찼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합당하다고 생각되는가? 그리고 그것이 신라시대 복식과 장신구를 고증을 통해서 재현했다고 할 수 있는가?
조선고종은 조선복식을 바꾸어 스스로 서양식 복장으로 바꾸었다. 그런데 후대에 대한제국 순종의 복식을 세종시대의 복식으로 재연한다면 이는 합리적이지 않다.
1977년
뼈속까지 친일매국이였던 박정희가 혈서를 쓰고 일본제국군이 되었다고 해서 일본 제국군복을 입고 대한민국 헌법질서를 파괴한 자가 헌법을 수호하겠다고 헌법위에 손을 얹고 대한민국 대통령 선서를 하지 않고 양복을 입고 선서를 했다. 박정희가 군복을 입고 헌정질서를 파괴하고 군사반란을 일으켰다고 해서 군복을 입고 대통령선서를 하지 않았을 것이다.
드라마 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유물을 전시하고 영정까지 만들었다고 하는 경주 통일관의 영정을 비롯해 전국에 깔려있는 김춘추 영정들은 모두 불태워버리고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아무생각없이 고증을 했다며 이미 진덕왕때 바뀐 복식을 대왕의 꿈처럼 황당하게 김춘추가 신라금관과 옥대를 찼다는 황당한 허구가 닥치고 사실처럼 받아들이는 무지는 사라질 것이다. 김춘추, 김유신, 김법민의 영정이 불태워저야 대한민국 역사가 바로설수 있다.
'역사IN드라마 > 대왕의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왕의꿈 천관녀 이세영 첫사랑 김유신 실패했을까? 결혼해서 자식까지 둔다 (4) | 2012.09.24 |
---|---|
대왕의 꿈, 김춘추 부 김용춘(용수) 일까? 천명공주만 안다? (1) | 2012.09.23 |
대왕의 꿈, 나이많은 유부 김서현과 도망친 김유신 어머니 만명 - 성골,진골 죽여야 신라 보인다 (6) | 2012.09.22 |
메이퀸 한지혜 아역 김유정과 대왕의 꿈 차이 - 김춘추 미친놈? 만든 미친존재감? (9) | 2012.09.17 |
대왕의 꿈, 숙흘종 김서현 반대 이유 가야계 진골 때문 사실일까? (3) | 201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