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 썸네일형 리스트형 육룡이 나르샤 이성계 요동정벌 중 3차 요동정벌 위화도 회군 계획적 반란 이유 이성계 최영장권 격돌 전초전 육룡이 나르샤 이성계 요동정벌 중 3차 요동정벌 위화도 회군 계획적 반란 이성계 최영장권 격돌 전초전 위화도 회군 이유는 위화도 회군 포함 요동정벌은 3차 요동정벌이었다. 많은 사람들은 위화도 회군한 때를 고려가 처음이자 마지막 요동정벌 인줄 안다. 하지만, 고려시기 요동정벌은 모두 3번 있었다. 육룔이 나르샤에서 1388년 4월 최영은 명나라의 철령위 이북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하지 않고 역으로 요동을 경략한 계획을 세운다. 육룡의 나르샤의 시대적 배경은 1382~1383년 이였다. 그런데 어느덧 육룡의 나르샤는 이인겸, 홍인방, 길태미를 축출하는 1388는 1월로 타임머신을 타고 이동해 버린다. 육룡의 나르샤는 지멋대로 시대를 이동한다. 육룡이 나르샤에서 시대를 따라 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리저리 왔.. 더보기 징비록 이순신 기대없었지만 징비록 이순신 역대 최악 이순신 이유는 - 징비록 유성룡 당대 비난 받은 이유는 징비록 이순신 기대없었지만 징비록 이순신 역대 최악 이순신 이유 - 징비록 유성룡 당대 비난 받은 이유는 징비록 임진강 전투에서 신각이 일본군 선봉대를 기습공격으로 이겼지만, 신각은 상관의 명령불복종 누명을 쓰고 선조가 참형을 하라는 명령을 냈지만, 잘못된 보고라는 사실을 알고 뒤늦게 재차 참형을 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린다. 하지만, 신각은 이미 죽은 후였다. 그래서 임진왜란 첫 승전을 한 승장 신각이 죽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되었다. 선조 시기 무수히 많은 의병들이 나타나서 왜군과 싸움에 임했지만, 싸움이 끝나고 나서 살아 남은 의병장이 얼마 없을 정도였다. 선조 시기나 일제 시기 수 많은 광복군과 독립운동가들이 있었지만, 광복 이후 이들의 지위는 극히 미천했고 그 후손들은 멸문에 이를 만큼 박살이 .. 더보기 징비록 이순신 김석훈 조각배 시청자 조롱? 징비록 이순신 한계 너무했다, 징비록 승장 신각 참한 선조 실책 일어난 이유는 징비록 이순신 김석훈 시청자 조롱? 징비록 이순신 한계 너무했다 부제) 징비록 임진왜란 첫 승장 신각 참한 선조 실책 왜 일어 났을까? 징비록에서 이순신이 본격 등장했다. 징비록에서 이순신은 말도 많고 탈도 많아서 이순신 배역에 대해서 논란이 있었고 징비록 이순신 목소리에 대해서도 불멸의 이순신의 김명민이다 아니다 논쟁까지 있었다. 징비록 이순신 김석훈이 등장하고 기대했던 옥포 해전은 너무나 단순하게 끝나고 말아 시청자를 허탈하게 만들어 버렸다. 징비록 이순신은 그만큼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남달랐고 이순신의 임진왜란이라고 할 만큼 이순신을 빼고는 이야기가 안된다고 생각한 것이다. 사실 징비록은 류성룡(유성룡)의 난중일기가 아닌 임진왜란 끝난 후 류성룡이 쓴 임진왜란 참회록이라고 할 수 .. 더보기 징비록 이순신 김석훈 류성룡 선조 캐릭터 힘 징비록 이순신 김석훈 하기 나름 하지만, 징비록 이순신 김석훈 류성룡 선조 캐릭터 힘 징비록 이순신 김석훈 하기 나름 하지만 징비록 이순신에 대해서 논란이 있었고 고대하던 징비록 이순신 김석훈 등장이 이슈화 되고 있다 징비록 마지막 10초에 이순신 김석훈을 등장시킨 징비록 제작진 언플는 나쁘지 않았고 파괴력 있었다. 류성룡의 징비록이냐 이순신의 난중일기냐는 실패한 역사를 보고 싶지 않은 시청자들의 당연한 욕구일 수 있다. 이제 본젹적으로 징비록에서 이순신이 등장하므로서 이순신 캐릭터에 대한 논쟁이 심해질 것 같다. 글쓴이의 경우 배우캐릭보다는 연출과 작가가 극을 어떻게 이끌고 있는가에 관심이 있고 사극의 경우는 작가가 얼마나 고증에 충실했는가? 역사적 사실과 팩트에 충실했는가를 주 시청포인트로 본다 그래서 이순신이 누가되었던 상관하지 않는다. .. 더보기 징비록 이순신 논란? 징비록 이순신 난중일기 아니다 유성룡 시각 존중해야 징비록 이순신 논란? 징비록 이순신 난중일기 아니다 임진왜란 입체적 배역 고민 당연한 이유는 징비록 이순신 역에 대해서 말이 많다. 징비록은 서애 유성룡의 임진왜란 시기를 반추한 일기형식을 빌린 편년체 참회록이다. KBS 역사대하 사극에서 징비록으로 임진왜란 시기 유성룡(류성룡)의 눈으로 본 임진왜란 경험담이다. 징비록에 기록된 내용들은 유성룡의 관점에서 본 임진왜란일수 밖에 없다. 그러니 징비록의 주인공은 당연히 유성룡이다. 만약, 이순신의 난중일기를 바탕으로 했다면 이는 이순신의 눈으로 본 임진왜란이다. 선조실록은 선조의 관점뿐만 아니라 당시 중앙정부에서 본 임진왜란이고 그 중심에는 선조가 있다. 원균의 관점에서 봤다면 욕하면서 보는 사극이 되었을 것이고, 선조의 관점에서 봤다면 상상하기도 힘들만큼 .. 더보기 뿌리깊은 나무, 한글창제 반대와 FTA 아전인수 해석한 이명박 뿌리깊은 나무를 보고 있노라면 세종 이도는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세종 이도를 성군이라고 말을 한다. 왜 성군인지는 대부분 아는 사람들이 없다. 단순히 예전부터 성군이라고 했으니 성군일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어떤이는 당대 유림의 반대를 무릅쓰고 한글(훈민정음)을 창제한 것 만으로도 성군이라고 말을 하고 있고, 극단적으로 조선이 생긴것은 세종대왕 한 사람을 만들기 위해서라는 말로 세종 이도를 극찬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 세종 이도를 역사보다는 소설로 배운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한마디로 소설속 작가의 이야기가 역사의 세종이 되어 버린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세종이 한글 창제을 위해서 시체해부까지 했다는 설정이다.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대략난감이라고 말해주고 싶다. 뿌리깊.. 더보기 이전 1 다음